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梵唄 八公山制에 對한 硏究 - 鍾聲 · 喝香 · 合掌偈 · 七如來 · 和請을 中心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白一亨

Issue Date
1987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민족음악학, Vol.9, pp. 17-52
Abstract
本 論本은 불교의식음악인 梵唄에서도 민요에서와 같이 각 地方別로 독특한 특생들이 존재하지 않을까하는 의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地方梵唄에 대해서는 洪潤植이 1966年 調查記를 통해 梵唄의 지역별 分類와 魚文系讀別 分類를 한 것과 韓萬榮이 1969年 짓소리를 調查 하는 과정에서 嶺南과 湖南地方의 梵唄가 존재하고 있고 그 중 湖南梵唄는 京山制 梵唄와 흡사하게 들렸다는 記錄밖에 없어서 地方梵唄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만을 알 수 있을 뿐 그에 대한 구체적인 硏究가 미비한 狀態이다. 本 論文의 硏究目的은 앞의 問題提起에서 나온 問題點들을 硏究함으로써 地方楚唄가 具體的으로 어떤 點들을 차이점으로 지니고 또한 그러한 차이점들은 梵唄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점들인지 아니면 민요와 같은 민속악 分野에서도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점들인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그리고 本 論文에서는 本人의 調査를 통해서 얻은 자료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자료제작실에 비치되어 있는 八公山制 梵唄(題南梵限)들을 採調·分析하여 이들이 지니고 있는 음악적 형식 및 선법 ·선율적인 측면들을 京山制 梵唄와 비교하는 方法을 통해서 八公山制 梵唄가 지니는 특징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68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