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문학으로서의 국어국문학/사회과학으로서의 국어교육 연구: 미디어 교육 연구의 예를 통한 국어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정현선 | - |
dc.date.accessioned | 2014-01-09T00:37:58Z | - |
dc.date.available | 2014-01-09T00:37:58Z | - |
dc.date.issued | 1998 | - |
dc.identifier.citation | 국어교육연구, Vol.5, pp. 253-273 | - |
dc.identifier.issn | 1227-8823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86969 | - |
dc.description.abstract | 21 세기를 눈앞에 둔 지금우리에게는 그간의 국어교육 연구의 역사를 그 성과와 한계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돌이켜보는 일이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학문으로서의 국어교육 연구가 시작된 지 이미 10년이 넘은 현재의 시점에서,1) 국어교육학은 국어교육 현상의 연구를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연구 방법 (methods)과 그 근저에 깔린 방법론(methodology)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절실히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글은 이러한 맥락에 바탕을 두고, 국어교육 연구 방법 및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기초를 이루고자 하는 바람에서 쓰여졌다.2) 또 다른 한편으로 이 글은 국어교육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텍스트(text) 및 문해력(literacy) 개념의 확장과 관련하여 최근 국어교육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미디어 교육(media education)에 대한 관심에 부응하고자, 영어교육과 미디어 교육의 연관성에 주목한 최근의 한 연구를 예로 들어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국어교육학 내에서의 미디어 교육에 대한 체계적 논의를 불러일으키려는 부수적인 목적 또한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미디어 교육의 개념을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다.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 |
dc.title | 인문학으로서의 국어국문학/사회과학으로서의 국어교육 연구: 미디어 교육 연구의 예를 통한 국어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 - |
dc.type | SNU Journal | - |
dc.citation.journaltitle | 국어교육연구 | - |
dc.citation.endpage | 273 | - |
dc.citation.pages | 253-273 | - |
dc.citation.startpage | 253 | - |
dc.citation.volume | 5 | - |
- Appears in Collections: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