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Obstruents through Prosody : 운율을 통한 한국어 폐쇄음의 인지와 발음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Park, Mee-Jeong

Issue Date
2009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Citation
국어교육연구, Vol.24, pp. 143-163
Keywords
한국어 폐쇄음운율인지발음발음교육Korean obstruentsprosodyperceptionprodutionteaching pronunciation
Abstract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운 발음 습득 중 한 가지는 [p-ph], [t-th], [k-kh]과 같은 폐쇄음의 평음과 경음의 구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소통에 지장을 줄 수도 있으며 교사나 학습자 모두가 학습적 한계를 느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한국어에서는 문장 첫 부분에 오는 폐쇄음의 경우, 경음일 때는 높은 억양을 유도하며 평음일 경우 낮은 억양을 유도한다. 다시 말해서 문장의 첫 자음에 따라 억양의 패턴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쇄음의 평음과 경음의 인지와 발음 실험을 통해 운율을 통한 학습의 효과성을 보여 준다.



The most challenging Korean consonants for English speakers to perceive and produce are the plain versus aspirated stop consonants: [p] vs [ph], [t] vs [th], [k] vs [kh]. Not being able to perceive and produce these consonants may hinder the learner's communi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these consonants is a big challenge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In Korean, the sentence initial plain consonants [p], [t], [k] trigger a low initial tone for the intonation at the sentence level. The sentence initial aspirated consonants [ph], [th], [kh], on the other hand, trigger a high initial tone. That is, the prosodic shapes of Korean sentences are based on the initial segmental quality.
ISSN
1227-8823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871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