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세기 掌樂院의 존재 양상 : Tracing the Changes of the Nineteenth Century's Jangagw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인화

Issue Date
2004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24, pp. 71-90
Abstract
19세기 한국사회는 신분체제의 동요, 열강의 침투, 개화사상과 갑오경장(1894). 대한제국의 선포(1897) 둥으로 급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음악면에 있어서는 많은 고악보의 출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곡, 영산회상 등 풍류음악이 활발히 연주되었으며, 산조 등 민속음악이 새롭게 전개되었다. 장악원(掌樂院)은 향악(鄕樂)과 아악(雅樂)이 별개가 아닌데 별도의 음악기관이 있어 예산이 낭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세조에 의해 세조 3년(1457) 전악서(典樂暑)와 아악서(雅樂暑)를 합하여 장악서를 거쳐 만들어졌다. 이후 장악원은 예악사상에 바탕을 둔 조선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는데, 사회 변동이 많고 민간음악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19세기에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구체적으로는 19세기의 사회 신분의 동요에도 장악원 악인의 신분 체제에는 변동이 없었는지, 갑오경장 등 정치적 변동이 장악원에 미친 영향, 그리고 민간음악과의 교류 상황 등은 어떠했는지?



Jangagwon 掌樂院 played an important role in Joseon society, which was based on the idea of yeak 禮樂 since the composition of Jangakseo 掌樂署 combining Junakseo 典樂署 and Aakseo 雅樂署 in the third year of Sejo 世祖(145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formation of Jangagwon, a royal music institute, in the nineteenth century that witnessed the upheaval in social classes, invasions of big countries, the idea for gaehwa 開化 and gabogyeongjang 甲午更張(1894), the declaration of Daehanjeguk 大韓帝國(1897), and the active performance of aristocratic music such as gagok 歌曲 and Yeongsanhoesang 靈山會相 and the development of folk music such as sanjo 散調.
ISSN
1975-021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