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세기 창작 국악관현악, 그 혼돈의 궤적 : Kugak Orchestra in the 20th Century : Traces of Chao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준연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34, pp. 79-88
Abstract
The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n music that began in 1959 set a new paradigm of Korean music, serving as a platform for a new genre of composed music for the standardized Kugak orchestra. This genre is one of the corollaries of university curricula, that were inevitably influenced by a Western-oriented music education system in which Korean music had been incorporated into. From the outset,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n music was characterized by both the upside of raising the profile of new Korean music and the downside of a less than clearly defined direction. While Kugak orchestras that competitively sprang up throughout the country served to accommodate university graduates and developed their own skills by employing highly qualified performers, a number of problems were caused by an under-prepared Korean music community itself that suffered a shortage of composers, conductors, and well-trained critics.



20세기 창작국악곡의 편성규모를 보면, (1) 가야금을 위시한 여러 가지의 국악기를 위한 독주곡 형태의 악곡들 (2) 소그룹의 합주곡, 즉 중주곡이나 서양 악기를 섞어서 쓰는 퓨전형태의 악곡들 (3) 대규모의 국악관현악을 위한 악곡들로 대변할 수 있겠다. 이 가운데 독주곡은 초기 황명기(1936~)의 가야금 독주곡을 필두로 하여 거문고, 해금 등을 위한 악곡들이 지금까지 수많은 작곡가들에 의하여 창작되었다. 그 악곡들의 작품성은 개개의 연주가들에 의하여 검증되고 수용되는 과정을 거쳐서 어느 정도 옥석이 구별되었다. 독주 악기를 위한 작품은 독주자의 독주회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 수요가 증대함에 따라서 그러한 작품도 끊임없이 작곡 되겠지만, 그 작품들의 가치는 언젠가 판명되고 드러나기 마련이다. 역사의 순환 속에서 좋지 않은 작품은 아무도 돌아보지 않을 것이고, 좋은 작품은 거듭 연주될 것이기 때문이다.
ISSN
1975-021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9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