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특수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의 분석 :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urvey Research on Attitudes towards Inclu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대식

Issue Date
2002-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3 No.1, pp. 1-25
Keywords
통합교육태도조사 연구문헌분석InclusionAttitudesSurvey researchLiterature review
Abstract
특수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학술지에 실린 태도 조사 연구 논문 21편을 검토하였다. 대체로 응답자들은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였고, 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양한 통합교육 개선 및 촉진 방안에 높은 지지를 표했다. 또한 주로 외적 여건 측면에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조건들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이 태도 변화 교육 요구를 규명하고, 나아가 통합교육 실제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에는 많은 미흡(未洽) 부분과 미답(未踏) 부분을 남겨놓았다. 예컨대, 조사대상에 교육행정가나 학교장들이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 조사 항목이 너무 일반적이고 원칙적이었다는 점, 응답자들의 통합교육이나 장애아 경험 여부를 통제하지 않았다는 점 등이 그것들이다. 통합교육의 기본 취지는 특수아동을 의무적으로 일반학급에 통합시키라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통합교육 서비스 연계성을 마련하여 개별 학생의 특성과 교육 요구에 따라 제공하라는 것이다. 통합교육 논의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통합대상인 장애아와 그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될 비장애아여야 한다. 현장의 통합교육은 어떠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가, 만약 그 모습에서 개선할 여지가 있다면 어떤 것이 어떻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측면에 연구가 집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태도 조사 연구뿐만 아니라, 실험연구, 참여관찰, 그리고 현장 인터뷰 등과 같은 연구방법이 같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제까지 쌓인 선행 연구 결과를 참조로 효과적인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것을 투입한 다음, 그 효과지수의 하나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는 일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투입 후, 그 효과와 활용 정도를 본다면, 좀 더 보완하거나 새롭게 개발해야 할 영역들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and features of the recent research about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inclusion. A total of 21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Mostly, the study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inclusion, and the specific inclusion guidelines presented by the researchers. The participants also indicated supportive systems such as a small class siz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enough instructional materials as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Still, a lot of blank spots and blind spots that must be filled with knowledge obtained from sound empirical studies for the purpose of guiding inclusion practices wer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survey research. For example, very few educational administrators or school principals were surveyed; the survey items were too general; and many researchers did not controlled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either special education 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en they report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inclusion. The essential purpose of inclusion is not to put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ir peers into the same classroom; it is to provide a spectrum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unique educational needs of individual students. Thus, the effects of inclusion must be judged by the degree of satisfaction felt by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ir classmates. Research about attitudes toward inclusion must be changed. More research is required regarding how inclusion is undergoing, how inclusion practices can be improved, and how an inclusion program effective. Many innov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survey, experimental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also must be considered. Instead of conventional survey, developing effective inclusion programs based on previous sound research and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could be an alternative research approach in the area of inclusion.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89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