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의 직업인식 발달연구 : Career Aspirations and Perceptions of Korea Undergraduat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매향; 김지현; 유정이

Issue Date
2004-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5 No.1, pp. 127-143
Keywords
대학생직업포부직업인지지도직업의 성별유형직업의 사회적 지위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포부 그리고 직업인식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Gottfredson(1981, 1996)에 따르면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직업의 이미지가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인생의 초기단계에 형성된다. 이는 두 개의 축(dimension), 즉 직업의성별 유형과사회적 지위로 구성되는 직업인지지도에 의해 확인되고, Lapan과 Jingeleski(1992)는 미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위의 이론을 검증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유정이, 김지현, 황매향, 2002; 황매향, 김지현, 유정이, 2003)에서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모두 직업세계에 대한 인식이 현실을 잘 반영하기 보다는 혼란한 상태임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직업포부 및 직업인식의 발달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대학생들의 직업포부 및 직업인식의 내용을 확인해 본 것이다. 그 결과, 각 직업영역에 대한 포부수준은 남학생들은 보다 남성적인 직업에서 높은 포부수준을 보이고, 여학생들은 보다 여성적인 직업에서 높은 포부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직업의 성별유형 및 직업의 사회적 지위에 근거하여 작성한 직업인지지도에서 직업의 성별유형 및 직업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 현실감있는 지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by examining 208 college students'(127 male students and 81 female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career aspiration, the orientation to occupational sex role, and the orientation to prestige of occupations.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expected to have the cognitive occupational map which is congruent with the Korean Job Map based on the 2001 Korean labor market. The responses of 208 Korean students inform the sex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 Boys have higher aspirations than girls in Realistic and Investigative occupations while girls have higher aspirations than boys in Social occupations in terms of Holland occupational types. The two-dimensional occupational map(Sex type by Prestige level) suggests a) Korea undergraduates have similar images of sex type of occupations with the Korean Job Map and b) they have similar images of the prestige level of occupations with the Korean Job Map. The uniqueness of Korean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the cultural validity of Gottfredson's career development theory are discussed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and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0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