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업과정에서 경험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과정 : Reflective Thinking Transi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Typ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영심; 김지훈; 김정은

Issue Date
2006-06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7 No.2, pp. 23-44
Keywords
반성적 사고반성적 저널예비특수교사상호작용 유형reflective thinkingreflective journalspecial education preteacherinteraction type
Abstract
논문 요약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원양성대학의 전공필수과목을 수강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라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사고의 수준과 내용으로 나누어 밝혀보았다. 연구대상은 P대학교 사범대학의 예비특수교사 18명이며, 분석대상은 매 2주마다 제시된 질문에 따라 6회에 걸쳐 작성한 반성적 저널 106편이다. 이들은 수업을 듣고 난 후 저널을 쓰기 전에 수업내용에 대하여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하거나(6명), 담당전공교수와 상호작용을 하거나(6명) 혼자 독립적으로 생각하는 경험(6명)을 가졌다. 연구결과, 세 집단 모두 반성적 사고의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또래나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한 집단이 개인적으로 저널을 쓴 집단보다 높은 향상을 보였다. 또한 저널쓰기의 횟수가 거듭될수록 단순히 수업내용만을 기술하던 수준에서 수업내용에 대한 비판과 도덕적,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진술하는 등의 높은 수준으로 반성적 사고과정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따라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혼자서 반성의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또래나 전문가와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정련하는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reflective thinking level and content of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based on the interaction types, which they experienced during classes.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18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6 persons who experienced interaction with the same age group, 6 persons who experienced interaction with experts, and 6 persons who individually wrote journals), and analyzed reflective journals that were written after attending major subject classes for 15 weeks and experiencing different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Study results show that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have been improved in all of three groups and especially groups who experienced interactions with the same age group or experts showed higher improvement than those individually wrote journals. In addition, while they write more and more journals contents of the reflective thinking have been improved from just describing only what was learned in classes to criticism on the contents of the classes and stating in consideration of moral and ethical aspects. Therefore we realize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teachers experience to refine their own thinking by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the same age group or experts to improve their reflective thinking.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0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