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융복합 교육 실증연구의 체계적 메타 문헌분석 : A Systematic Review of the Studies of Integrative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주호; 이종호

Issue Date
2013-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pp. 97-135
Keywords
융복합 교육다학문적 융복합간학문적 융복합체계적 메타 문헌분석MultidisciplinaryInterdisciplinaryTransdisciplinaryIntegrative EducationSystematic Review
Abstract
본 연구는 초중고 학생 대상 융복합 교육을 주제로 최근 10년 동안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발간된 실증 연구들 을 체계적으로 메타 문헌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RISS와 해외의 경우 ERIC 및 PsycINFO를 활용하여 융복합 관련 핵심단어 검색을 통해 연구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총 47편의 논문이었다. 융복합 수준 분석결과 에 따르면, 초학문적 융복합 사례는 없었고 다학문적 융복합은 국내외 총 29개(61.7%)와 간학문적 융복합의 경우는 18개(38.3%)로 나타났다. 학교급 및 교과 차원의 분석결과, 다학문적 융복합에서는 초등학교 수준의 경 우 다양한 교과들이 융복합된 경향을 보여주었고, 간학문적 융복합은 주로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과학 및 기술 교과가 집중 융복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융복합 유형 및 교수-학습 핵심요소 면에서는 다학문적 융복합의 경우 거미줄형 또는 실로꿴형을 주로 사용하였고, 핵심요소 면에서는 대부분이 활동 또는 주제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간학문적 융복합의 경우 공유형 또는 통합 유형을, 핵심요소 면에서는 대부분 탐구 또 는 활동 요소가 적용되어 있었다. 융복합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 및 성과에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인지적 측면만 의 성과 향상 사례, 학습 태도나 가치 등의 정의적 측면만의 성과 향상 사례, 또는 인지적 및 정의적 성과 향상 모두를 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 특히, 간학문적인 사례의 경우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이 모두 포함된 교육목적 을 가지고 성과 향상을 추구하는 경우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끝으로 수업방식을 분석한 결과 팀티칭 방식을 활용한 경우가 국외에서 4개 사례, 그리고 문제중심 및 프로젝트 수업방식의 경우는 국내에서 4개 사례와 국외 에서는 총 5개 사례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재까지 초중등 수준에서 융복합 교육이 융복합의 수준과 형태 및 수업의 핵심요소 측면, 그리고 융복합 교육의 시행 목적과 성과 측면에서 통일된 원형보다는 다양한 모습으로 시행되어 왔고, 교과나 학년 및 학교수준에서 개별적 수준으로만 전개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was made in order to review the empirical studies of integrative education in the last decades. 47 articles, which were met at the inclusion criteria, was finally retrieved through keyword-searching procedure utilizing RISS for Korean cases and PsycINFO and Eric for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hile there was no case classified into transdisciplinary education, there were 29(61.7%) studies classified as multidisciplinary and 18 (38.3%) studies a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Multidisciplinary programs were found dominant in elementary school with the variety of subjects from diverse disciplines whereas interdisciplinary programs were prevalent in middle or high school with a relatively narrowed scope of subjects to be integrated with such as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In multidisciplinary programs, the subjects we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on the foundation of the common theme or topics in a networked or threaded way focusing on a theme-oriented or activity-based learning process. In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e subjects are interrelated on the basis of shared concepts or skills emphasizing upon students inquiry-based capabilities. Three types of learning outcomes of integrative programs were classified; programs pursuing cognitive outcomes, affective outcomes, or the balance of both. Interdisciplinary programs were more likely to be aligned and assessed with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outcomes whereas multidisciplinary programs had a tendency to be accompanied by solely affective learning outcomes. In addition, a problem/project based-learning was reported to have been applied in a total 4 domestic and 5 cases of other countries. A team-teaching was adopted in 4 cases from other countries. From most of programs reported,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were frequent subjects to be integrated with in integrative education. In conclusion, it was also found that integrative programs were practiced with diverse objectives, pedagogies and emphasized as well as pursued different aspects of learning outcomes along with the level of integration.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3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