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hifting Cultivation and Governmental Policy in Korea : 한국의 火田農業과 정 부의 정 책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Lee, Jeong-man-
dc.date.accessioned2014-01-20T02:31:40Z-
dc.date.available2014-01-20T02:31:40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citation지리학논총, Vol.14, pp. 269-281-
dc.identifier.issn1226-588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9544-
dc.description.abstract한국 火田農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다른 나라에서와는 달리 한 筆地에 한가지 작물만을 재배하였다.

(2) 處女林이 개간지로 선호되었다.

(3) 주요 작물은 감자, 기방, 보리, 팥이었다.

(4) 火田은 종종 熟田化되었고 이러한 밭은 높은 재산가치를 가져 매매되었다.

(5) 기존 火田民과 신참 火田民 사이세는 小作도 종종 이루어졌다.

(6) 한국의 火田民들은 새로운 耕作地를 얻기 위하여 移仼하기 보다는 정착된 집 부근의 산을 개간하였다.

(7) 火田은 산악지대, 특히 한반도의 동북부에 가장 많았다.

(8) 火田民들은 평야지대의 사람들과는 달리 散村을 이루고 살았다.

(9) 火田民들이 여러 세대에 걸쳐 和戰農業을 전수하며 사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들은 보통 火田農業을 어려운 사회·경제적 상황으로부터의 일시적 도피로 생각하였다. 대부분의 火田民들은 자녀들의 교육을 위하여 정상적인 平野地帯에서의 생활로 복귀하기를 원하였다.

(10) 한국의 火田農業은 1979년에 이르러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한에서) 정부에 의해서 제정된 火田整理法은 안보와 생태적 이유에서 강력하게 집행되었다. 정부의 火田民

疎開 作業은 火田民들을 평야지대로 이주시켰다.

(11) 산업화와 도시화는 농촌지대에서 移住하는 農民들을 수용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현

대 도시산업화 사회에 있어서의 무허가 판자촌 주민들은 과거 농업 사회에 있어서의 火田民들

과 대등한 사회·경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dc.titleShifting Cultivation and Governmental Policy in Korea-
dc.title.alternative한국의 火田農業과 정 부의 정 책-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李廷滿-
dc.citation.journaltitle지리학논총(Journal of Geography)-
dc.citation.endpage281-
dc.citation.pages269-281-
dc.citation.startpage269-
dc.citation.volume1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