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겨울철 모래이동과 전사구의 지형변화 - 신두리 해안사구 지대를 사례로 - : Aeolian sand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in the foredune ridge, Shindu dunefield,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호상

Issue Date
2001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Citation
지리학논총, Vol.38, pp. 31-60
Keywords
해안시구 지대 전사구 비사 바람에 의한 모래이동지형 변화지형 반응모래 포집기신두리한국 서해안coastal duneforeduneblown sandaeolian sand transportmorphological changemorphological responsesand trapShindu dunefieldthe west coast of Korea
Abstract
신두리 해안사구 지대의 전사구를 대상으로 바람에 의한 모래이돈과 지형변화의 규모와 특징을 조사하였다. 사구의 경사, 사구열의 방향, 형태적인 특징, 식생 피복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세 개의 조사 구역을 설정하고, 침식핀과 모래 포집기를 설치하여 연구기간 (2000.12.9.~2001.3.30.)동안 대략 일주일 간격으로 조사 구역과 위치에 따른 모래 이동율과 모래이동의 방향, 전사구의 형태 변화, 포집된 모래의 입도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바람에 의한 모래이동은 주로 해빈에서 사구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일어나지만 이외의 이동방향에 대해서는 해빈-사구 경계부와 사구 정상부가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래이동은 전반적으로 사구 정상부보다 해빈-사구 경계부에서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사구의 지형변화가 해빈-사구 경계부에서 시작되어 사구 정상부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지형변화 패턴에 반영되었다. 유입된 모래의 입도는 사구지대 북부의 전사구열에서 더 조립한 거스로 나타났으나, 해빈-사구 경계부와 정상부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기간 동안 전사구열의 부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각 구격의 변화 패턴은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변화량은 구역마다 차이를 보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신두리 전사구열은 식피사구의 모래이동과 지형변화 채턴을 따르고 있으며 모래 유입에 대해 일체로 반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aeolian sand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in the foredune ridge, Shindu dunefield, Korea. Erosion pins and sand traps were installed in three zones, and monitored about once a week over the period of study, December 9, 2000 ~ March 30, 200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direction of sand transport was onshore, while different pattern was observed between dune base and dune crest concerning other directions. Second, the aeolian activity in the dune base was more active than that in the dune crest, which was also reflected by the pattern of morphological change; the focus of volume change in the foredune ridge moved from dune base o dune crest. Third, the mean grain size of aeolian sands transported into the zone A was coarser than that in the zone C.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qrain size was observed clearly between in dune base and in dune crest. Finally, the continuous volume increase occurred in the foredune ridge over the period of study, and the morphological behaviors were similar all over the ridge. However, the amount of volume change varied according to the zones, which might be due to difference in the elevation and orientation of the foredune ridg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oredune ridge in Shindu dunefield have the sirnilar characteristics as those of vegetated dunes concerning the pattern of aeolian sand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and it responds to aeolian sand input morphologically as a whole.
ISSN
1226-588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6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