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모국음식 문화 공유와 전파 :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Sharing and Spreading their Homeland Food Culr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효진

Issue Date
2010-09-01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Citation
지리학논총, Vol.55/56, pp. 25-48
Keywords
국제결혼 이주여성모국음식모국문화공유전파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homeland foodnative culturesharingspreading
Abstract
단일민족, 가부장적 가족문화를 고수해 온 한국사회에 최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주가 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주시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을 일방적인 한국문화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모국문화를 드러내고 전파하는 문화적 행위자로 보고, 다양한 문화요소 중 하나인 모국음식이 가정 및 지역사회에서 발현되는 양상과 이에 따른 지역사회의 가시적 · 비가시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이주 여성들은 자발적으로 모국음식을 선택하고 가족과 공유하며, 동시에 한국음식 수용에도 능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고향에 대한 향수 해소 등 심리적 요인에 의해 모국음식을 조리하고 공유하였으며, 경제적 · 외부적 요인 등에 의해 모국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포용적인 입장에서 한국음식을 조리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한국 음식에 대한 가족의 강요나 모국음식의 억압이 아닌 이주여성의 자발적 선택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개인적 측면에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일방적으로 한국문화를 수용하는 동화 지향적 존재가 아니라 정착국가에서 적극적으로 모국문화와 한국문화를 동시에 지향하는 통합 지향적 존재로 변해가고 있음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며, 가정 단위의 일차적인 문화전파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이주여성들의 상당수는 민족 커뮤니티 및 지역주민과 모국음식 공유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민족 커뮤니티 별 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이주여성 커뮤니티는 모국음식 공유를 통해 민족 정체성 유지와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을, 필리핀 이주여성 커뮤니티는 모국음식 공유와 더불어 한국음식 수용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일본 이주여성 커뮤니티는 모국음식 공유는 소극적이지만 한국음식 소비에는 적극적인 모습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지역주민과의 모국음식공유양상을 살펴보면, 다수의 이주 여성이 지역주민과의 모국음식 공유에 대한 욕구를 보였지만, 모국음식에 대한 지역주민의 반응이 상호간의 모국음식공유와 단절을 결정짓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주여성의 정착과 모국음식 공유에 따른 지역사회 변화는 초기 탐색전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가시적 변화로는 신 (新) 소비공간 (외국인 식료품점과 다문화 식당)의 등장과 이에 따른 경관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청주시의 경우 아직까지 이주민의 수에 비해 다문화적 공간은 부족한 편이며, 지역주민의 인지도 및 인식 변화 또한 미비하기에 이주여성의 정착과 모국음식 공유에 따른 지역사회의 가시적 · 비가시적 변화는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新) 소비 공간과 같은 다문화 자본의 생성은 향후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immigrant wives are capable of expressing the culture of their origin voluntarily and active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the foreign brides residing in the city of Cheongju, express their own culture at home and in local community by means of their ethnic food (homeland food)".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s that immigrant women have brought to the local community on the back of expressing their cultural attribut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mmigrant women cook homeland and Korean food voluntarily in their kitchen and share it with their family. This process takes place of their own free will instead of an outside pressure to eat or cook Korean food or, needless to say, prohibition by their family members from their homeland food. Viewed individually, the result signals that the immigrant women tend not to assimilate with Korean culture passively but embrace both their mother-role and Korean culture proactively. Second, most of the immigrant women share homeland food with their ethnic community (wives with same cultural background) and local residents. However, how they share homeland food and form a venue to e띠y differs from the way they used to do in their ethnic communities. 1n social aspect, this result indicates that how to share homeland food and also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venue for sharing differs by ethnicity. 1f this phenomenon continues, it is expected to create a new landscape and place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ird,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settlement and the culture of sharing homeland food by immigrant wives bring visible and invisible changes in local community. Visibly, a new place for consumption was formed and the awareness towards most local residents has transformed into friendliness." However, since the scope of change is still limited, transformation of local community is still in its infancy.
ISSN
1226-588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8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