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를 사례로 - :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A Case Study of the Club Cultures at the HongDae Area in Seou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무용-
dc.date.accessioned2014-01-21T06:44:21Z-
dc.date.available2014-01-21T06:44:21Z-
dc.date.issued2003-04-30-
dc.identifier.citation지리학논총 별호, Vol.49, pp. 1-35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9863-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최근 지역활성화 전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장소마케팅 전략이, 지역문화의 보존 및 장소정체성 강화의 차원에서 이론적, 실천적 대안으로 자리매김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정치론적 관점을 장소마케팅 전략 분석에 도입하여, 지역문화추구형 장소마케팅 전략을 문화정치적 관점에서 평가 및 수립하는 방법론을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추구형 장소마케팅 전략은 지역주체들의 밀접한 파트너쉽을 통해, 장소에 대한 장기비전과 정체성을 수립하고, 마케팅 전략기법을 이용하여 장소성에 기반한 지역문화상품을 지역주민, 기업, 관광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역문화활성화뿐만 아니라, 지역경제활성화, 지역사회통합을 동시에 추구하는, 포괄적 · 체계적 · 연계적 · 문화적 · 능동적인 지역활성화 전략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둘째, 지역문화추구형 장소마케팅 전략은 장소마케팅 전략의 세 유형, 즉 지역경제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 지역사회통합추구형(정치적 장소마케팅), 지역문화추구형(문화적 장소마케팅) 중 한 유형이고, 마케팅 파트너쉽 조직의 구성 방식에 있어서는 주민 · 정부 주도형에 해당하며, 문화매개집단의 역할에 따라, 문화매개집단 주도형, 문화매개집단 보조형, 문화매개집단 배제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의 사례지역의 유형은 지역문화추구형 장소마케팅, 그 중에서도 지역정체성 중심형이면서 문화매개집단 주도형에 해당된다.

This study starts from a basic question as to whether place marketing strategy can be new theore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 to enhance the place identity and to develop local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s the viewpoint of cultural politics and attempts to understand 'local culture oriented place marketing stategy' from the point. The club culture at 'the area around Hongik University(called "the Hong-dae area")' in Seoul are selected for th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cal culture oriented place marketing strategy' is defined as an inclusive · systematic · metworking · cultural · active strategy not only for local culture development but also for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nd local community integration.

Second, 'local culture oriented place marketing strategy' is one of the three types of place marketing strategy. They include 'local economy oriented place marketing strategy(economic place marketing)', 'local community oriented place marketing strategy(political place marketing)', and 'local culture oriented place marketing(cultural place marketing)'.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dc.subjectplace marketing-
dc.subjectlocal culture oriented place marketing strategy-
dc.subjectcultural poltics-
dc.subjectsultural politics analysis categories-
dc.subjectcontested meanings-
dc.subjectcultural intermediary group-
dc.subjectorganizaion mix-
dc.subjectclub cultures-
dc.subjectthe Hong-dae area-
dc.subjectcommunity business-
dc.subject장소마케팅-
dc.subject지역문화추구형-
dc.subject장소마케팅 전략-
dc.subject문화정치론-
dc.subject문화정치적 분석요소-
dc.subject의미경합-
dc.subject문화매개집단-
dc.subject조직믹스-
dc.subject클럽문화-
dc.subject홍대지역-
dc.subject커뮤니티 비즈니스-
dc.title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를 사례로 --
dc.title.alternative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A Case Study of the Club Cultures at the HongDae Area in Seoul-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Mu Yong-
dc.citation.journaltitle지리학논총 별호-
dc.citation.endpage357-
dc.citation.pages1-357-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volume4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