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多元主義: 그 社會生物學的 觀察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宋復

Issue Date
1987
Publisher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Citation
한국정치연구, Vol.1, pp. 145-162
Abstract
多元主義사회로 移行해간 여러 나라들의 그것과 비교해서, 우리가 갖고 있는 여러 특징들 중 그 어떤 특정이 가장 결정적 차이를 지난 특징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간략히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 하나가 社會構造的인 것(social structure) 이라면, 다른 하나는 社會生物學的인 것(socio-biology)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社會構造的인 것은 그 사회 특유의 역사적 특징도 포함시킬 수 있는데, 이는 역시 社會生物學的인 것에도 기본적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해 놓고 본다면, 社會構造的인 것의 가장 큰 특징-多元主義사회와 연관해서-은 分化와 統合의 수준 및 그 樣態가 될 것이다. 즉 그 사회의 생산활동에서 어떤 산업이 中心이 되어 있느냐, 동시에 인구의 다수를 어떤 산업이 점유하고 있느냐, 그리고 그것은 分化를 主傾向으로 하느냐 統合을 主傾向으로 하느냐 하는 것이 될 것이고, 따라서 分化를 主傾向으로 할 경우 分權化 즉 하위부문들의 自律性은 얼마만큼 높게 이루고 있느냐, 그러면서 統合의 요구-조정과 질서-도 얼마만큼 充足되고 있느냐 하는 것등이 될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統合을 主傾向으로 할 경우, 集權化 즉 하위부문들을 얼마만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느냐, 그러면서 하위부문들의 자발적 행위를 강화하는 동기유발을 얼마만큼 측발시키고 있느냐 하는 것등이 될 것이다.
ISSN
1738-747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8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