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강점기 조선정치의 문학적 이해 Ⅱ: 이상(李箱)과 서인식의 경우 : A Literary Understanding on Chosun Politics in Colonial Period Ⅱ: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ses of Lee Sang and Suh In-Sik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종성

Issue Date
2005
Publisher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Citation
한국정치연구, Vol.14 No.2, pp. 1-32
Abstract
한국정치연구에서 강점기의 변방성은 여전히 농후하다. 정치학의 접근 빈곤은 논의의 인프라 구축도 어렵게 하고 있다 사회과학 밖의 강점기 논의를 종합해 보더라도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는다. 현대사와 왕조사 사이에 끼여있는 역사의 회색(灰色) 지대로 당대의 인식은 그래서 쉽지 않다. 1930 년대의 체계적 인식과 그 입체적 재현은 특히 어렵다. 불안과 소외,압박과 공포로 점철되는 이 시기는 폭력의 포위 속에서 주눅의 터널을 통과해야만 했던 시기였다. 학문이 빈곤했다면 좀체 끝날 것 같지 않던 식민의 역사를 살아낸 사람들의 생각은 다시 치밀하게 읽어볼 필요가 있다. 그것은 역사의 숨은 그림 찾기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끝내 학문이 기대야 할 신뢰의 자원으로도 의미를 강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같은 믿음의 기반을 문학에서 찾는다. 시대의 투쟁을 선도하며 정치 현실의 실질적 변화마저 이끌진 못하였으되 꼼짝없이 당대를 버려내야만 했던 인간들의 앉아 있던 자리를 다시 살피고 주위에 남겨 놓은 생각의 자락들을 맞춰보는 기억의 문학과 재건의 정치학을 얘기하려는 것이다. 이 상과 서인식은 당대의 시대정신이 퇴폐의 늪 속에서 배양되었다고 자신들 작품 어디서도 굳이 힘주어 말하지 않는다. 피 홀리기 위해 혁명을 기획하지는 않듯, 억압의 세월이 권태를 낳고 애수의 나날이 타락이라도 하여보라고 대신 우울의 빗물로 식민의 대지를 적시던 연유(緣由)를 말한다. 그리하여 날개라도 달아 제국의 반도를 떠돌고 죽음보다 더 갚이 절망하면서 도피의 구멍을 찾는 게 더 없는 정치의 방략이었음을 알아차리도록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를 꿈꾸었고 폭력의 등에 업혀 폭력의 심장을 향해 거꾸로 비수라도 꽂을 철학의 방법까지 찾아 헤매던 30 년대 말 고단한 지성사를 작가와 함께 누비는 일이야말로 오늘도 여전한 지성의 황폐를 이겨내는 또 다른 길일 수 있음을 변명해 보려는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spirit of the times (Zeitgeist) in the 1930s through some decadent works of literature especially written by Lee Sang and Suh In-Sik. The works of Lee had already gained recognition, but those of Suh were rarely discussed and handled randomly. But this is not to aim for social scientific reconfïrmation about main arguments m the world of literature itself. Rather the goal was to concentrate on the political understanding for the topics of colonial regret, sedimentation, and intentional regress to the laziness in the light of works in the 30s Lee. Moreover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an altemative to how we can overcome sentimental and political limits of the above through writings of Suh in the late 30s. Discourses on the global way of thinking in modem world derived from the Kyoto School consist also of oriental Iiberation , independence of colony, and critics to Japanese imperialism. But this attractive paradigm could not transcend beyond the wall of militarism before and after Sino-Japanese War. However, he had strictly grasped this way of thinking and pushed to the extre until the new opening of the 40s. His trial was frustrated by continuous victory of Japan in the process of transfornling Northeast Asian world order. But he had succeeded to overcome in negative political behavior, e.g. powerlessness, normlessness, alienation from others and also themseIves. The Beauty of Pathos and Decadence strongly stimulates political reconsideration of colonial age of the 30s as much as psychological masochism and sentimental compensation for historical retrospect. Pathos gave any surviving power for disturbing existence in colonial mother1and, decadence suggested an unprecedented c1ue for solace in political devastation and lamentable conditions of endurance. A certain prejudice around the concept of decadence de siècle) had to be corrected into any connotative meaning of dysphemism. Decadence was a political excuse for displacement out of unbearable pathos, but in fact it was an attitude of endurance rather than an opposite of virginity. It was another expression of protest in colonial Chosun.
ISSN
1738-747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0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