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 Transfer of Power and Change of North Korea Policy: Focusing on Lee Myung-Bak Administr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수호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Citation
한국정치연구, Vol.19 No.2, pp. 135-165
Keywords
대북정책정권교체관계적 평화구조적 평화비핵화관여사회정치적 균열North Korea policytransfer of powerrelational peacestructural peacedenuclearizationengagementsocio-political cleavage
Abstract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전임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과는 매우 다른 철학에 기반하고 있다. 김-노 정부가 남북한의 관계적 평화를 유지, 확대하는데 최우선 목표를 두고 정경분리 및 남북한과계와 국제관계의 분리 차원에서 대북정책을 추진했다면, 이명박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 및 개방을 통한 구조적 평화를 달성하는데 최우선 목표를 두고 정경연계 및 남북한과계의 국제관계에의 종속화 차원에서 대북정책을 추징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대북정책 변화는 우선 지난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반성이라는 합리성 차원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즉 대북정책을 둘러싼 한미갈등, 북한의 핵능력 강회에 따른 한국의 대북 군사력우위의 붕괴 등 구조적 요인에 대한 적응이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2000년대 이후 대북정책을 둘러싸고 형성된 국내 정치지형에 의해 불가피하게 초래된 결과이기도 하다. 즉 대북정책을 둘러싼 보수-진보 간 균열이 확대되고 국민들의 대북정책에 대한 피로감이 증폭된 상황에서 보수정권이 취할 수 있는 정책옵션은 대북정책의 보수화 및 후순위 화 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향후 미국의 대북접근이 가속화 되는 경우, 한국정보의 대북정책 역시 유연화 되어야 할 압력에 직면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변화의 가능성은 대북정책을 둘러싼 보수진영 내부의 균열 가능성에 의해 제약될 것이다.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Kim Oae-Joong and Rho Moo-Hyun administration', Whi le the latter two administrations had put stresseson the sustenance and enlargement of 'relational peace' between two Koreas, the former prioritizes the achievement of 'structural peace' through denuclearization and opening up of North Korea. While Kim and Rho administration had tried to secure inter-Korean realms meeting North Korea issues, 10 protec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s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nuclear standoff, Lee administration prefers international cooperations 10 inter-Korean ones meeting North Korea issues, and strongly links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s to the development of nuclear issue.
What are the driving forces of this drastic change? First of all. it could bea natural result of policy readjustment reflecting changed situations, such as ROK-U.S frictions regarding North Korea policy, possible shift of military balance between two Koreas following North Korea's nuclear tests.With international factors. however. it seemsthat the domestic political factors have explanatory power either. By the time of 2007 Presidential Election. the socio-political cleavage between 'progressives andconservatives' regardi ngNorth Korea was so huge that the conservative camp could not help but deny every aspect of former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towin the confidence of conservative voters.
With the Obamaadministration's yet to be initiated policy of engagement towards North Korea. the Lee administration would inevitably face pressures to soften it North Korea policy. The scope of changes, however, ~ll beconstrained bythe possible cleavages within the conservative party.
ISSN
1738-747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1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