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조경연구의 성찰과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영선-
dc.date.accessioned2014-01-22T08:43:43Z-
dc.date.available2014-01-22T08:43:43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citation환경논총, Vol.31, pp. 19-30-
dc.identifier.issn2288-445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0528-
dc.description.abstract한국조경을 돌이켜 보는 자리에는 으레 언급되는 것들이 몇 있다. 70년대의 본격적인 경제개발과 산업화의 추진 및 그에 따른 국토개발의 대역사는 전문분야로서 조경이 대두된 배경과 관련된 사회적 수요를 설명하는 것으로, 73년 서울대학교와 영남대학교의 조경학과 신설은 그 같은 사회적 수요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의 시도로서 한국조경 성찰에 빠지지 않는 메뉴이다. 그에 더해 74년 한국종합조경공사의 설립도 전문직종으로서 조경이 공식적인 첫발을 내디디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또한 한국조경 성찰의 자리에는 몇가지 지적되는 문제외에 짧은 기간에 비해 많은 성장과 발전을 해왔다는 식의 상대적 발전론도 꼭 끼는 자화자찬식 결론의 하나이다. 그같은 평가의 근거로는 20개가 훨씬 넘는 대학에 설치된 조경학과수와 1년 1000명이 넘는 졸업생 배출수, 250개에 달하는 조경공사업체와 50여개가 넘는 조경설계업체 등 대체로 양적인 성장이 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양적성장론은 전문분야로서의 학제와 법제가 도임된 지 20여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적어도 우리 자신들을 되돌아보는 용어로는 적절치만은 않은 것 같다. 20년이라는 기간은 사람에 비춰봐도 성년이 되는 해이며, 성년이 된다는 것은 보다 성숙해지고 한단계 다른 차원으로 들어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사회의 물질적 수준의 향상은 곧 조경분야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대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는 하나 그 수요가 질적인 것으로 바로 연결되어 있는 것임을 간과하여서는 않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 본글은 조경 대내외적 환경여건에 대한 문제점을 거론하고 그간의 조경분야 성장을 수치로 분석평가하는 식의 양적 검토에서 벗어나, 필자가 해온 일과 관련하여 주로 조경설계의 질적 측면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dc.title한국조경연구의 성찰과 평가-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환경논총(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dc.citation.endpage30-
dc.citation.pages19-30-
dc.citation.startpage19-
dc.citation.volume3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