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환경대학원)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환경논총)
환경논총 Volume 36 (1998)
경관생태학의 기본 개념과 환경 관리를 위한 가설적 제안 : Basic Concepts in Landscape Ecology and Some Hypothetical Suggestion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도원 | - |
dc.date.accessioned | 2014-01-22T08:57:11Z | - |
dc.date.available | 2014-01-22T08:57:11Z | - |
dc.date.created | 1998 | - |
dc.date.issued | 1998-12 | - |
dc.identifier.citation | 환경논총, Vol.36, pp. 190-208 | - |
dc.identifier.issn | 2288-4459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90579 | - |
dc.description.abstract | 경관생태학은 조경, 토지 관리 및 계획, 그리고 사회학의 결합과 함께 인문지리와 생태학 분야의 총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의 창발로 1960년대 중부유럽에서 시작된 생태학의 한 분야다. 유럽의 지형은 신대륙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하 굴곡이 심하고, 더 긴 세월 동안 인간 교란이 진행되어 조각난 토지가 많아 일찍부터 생물지리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면적이 좁아 토지와 자연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더 크게 요구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런 여건에서 땅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가치를 더욱 키워야 할 이유는 당연했고, 생태학적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그것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는 바램은 경관생태학을 탄생시켰을 것이다. 경관생태학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땅을 먼 거리에서 조망할 수 있는 수단인 항공사진을 널리 사용한 20세기 초였다. 자연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에서 1935년 제안된 생태계 란 용어에 영향을 받아 생물학과 지리학 배경을 가진 Car1 Troll이 1939년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
dc.title | 경관생태학의 기본 개념과 환경 관리를 위한 가설적 제안 | - |
dc.title.alternative | Basic Concepts in Landscape Ecology and Some Hypothetical Suggestion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 - |
dc.type | SNU Journal | - |
dc.citation.journaltitle | 환경논총(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 - |
dc.citation.endpage | 208 | - |
dc.citation.pages | 190-208 | - |
dc.citation.startpage | 190 | - |
dc.citation.volume | 36 | - |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환경대학원)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환경논총)환경논총 Volume 36 (1998)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