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방안 - 서울시 우면산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병이

Issue Date
2002
Publisher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Citation
환경논총, Vol.40, pp. 149-169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집이나 마을의 터를 잡는 과정에서 양택풍수라 하여 풍수지리적인 입지선정을 하여 왔기 때문에 대부분 배산임수의 터를 적지로 하여 집이나 마을이 입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의 도시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읍을 정하는 과정에서 풍수지리적인 고려를 했기 때문에 산으로 둘러싸이고 옆으로 강이 흘러가는 입지에 도읍을 정하는 경우가 흔하게 나타났다.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서울의 경우도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는 과정에서 풍수지리적인 배려를 하여 정하였음이 역사기록에 남아있다. 따라서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도시는 도시의 주변을 산이 둘러싸고 있고 도시내를 강이나 하천이 흘러가기 때문에 우리나라 도시의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서울의 한복판인 광화문네거리에서 보이는 북악산의 산세로 이루어진 조망경관은 전세계의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아름다운 경관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도시들이 이와 유사한 아름다운 경관을 도시내의 중심부에서 볼 수 있도록 도시가 입지되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도시내의 개발로 인해 특히 도심부의 재개발이나 재건축으로 인해 고층빌딩이 들어서게 됨에 따라 도시에서 바라다 보이는 아름다운 경관에 대한 조망이 많이 차단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ISSN
2288-445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6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