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악취관리 성과와 전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동영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Citation
환경논총, Vol.49, pp. 179-192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악취문제는 2000년대 초반 경기도 시화, 반월 산업단지 주변으로 신도시 입지와 더불어 민원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악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4년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악취분야를 분리하여 악취방지법을 제정 시행하게 되었다.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및 기타 자극성 있는 물질이 사람의 냄새감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되는데, 주요 악취유발물질만도 1,000여 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취는 소음 진동과 함께 대표적으로 감각오염의 하나로 보통 여러 화합물들의 혼합물에 의해 야기되며 사람에게 정신적 생리학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킨다. 악취오염은 일반적으로 주민의 민원으로 표면화되며, 그 성격상 오염물질의 축적은 없으나 피해가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 악취는 감각적이고 주관적인 오염물질로 상황에 따라 또는 개인적 성향에 따라 악취 정도가 판단되기 때문에 정량적 측정이 어렵다.
ISSN
2288-445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7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