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령주의 관점에 근거한 노인복지주택 거주민의 주거공간인식 : Residential Space Perception of Elderly Welfare Housing Dwellers based on Age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나리

Issue Date
2014-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Citation
지리학논총, Vol.59/60, pp. 27-49
Keywords
연령주의노인복지주택주거공간인식상위 노인인구 집단Ageismelderly welfare housingresidential space perceptionthe upper elderly group
Abstract
우리나라 노인복지주택은 고가의 분양가와 생활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노인인구 집단만이 소비 할 수 있 고 거주 가능한 노인들은 시장경제 원리에 따른 노인차별적인 배타적 연령주의와는 무관한 집단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주택의 공간적 속성을 규명하고, 연령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거주민들 의 주거이동 메커니즘을 탐색 해 봄으로써 주거공간 변화가 거주민들의 연령주의 인식에 미친 영향을 거주민의 주거공간인 식을 바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은 대부분 고학력, 고소득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았고, 주 거공간 변화로 인해 주거 소비·생활 행태도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거주민들은 주거이동 이전과 이후 에 경험한 연령주의 인식 변화에 따라서 각기 다른 주거공간인식을 나타냈다. 거주민들의 주거공간인식은노화현상에 대처 하기 위한 공간, 연령주의로부터 분리된 공간, 연령주의를 지속시키는 공간, 연령주의를 유발하는 공간등 4 가지 유 형으로 구분되어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인구 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상관없이 공간 환경의 변화가 노인 들의 연령주의 인식에 강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공간인식에 대한 이해 없 이 물리적 공급에만 치중 한 현 노인복지 주택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Elderly welfare housing of our country requires the expensive purchase price and cost of living, so only limited elderly people can purchase it, and the elderly people who can live in it are regarded as the group that has nothing to do with elderly discriminating exclusive ageism according to market economy principle.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established the spatial properties of the elderly welfare housing with the residents of elderly welfare housing as the subjects, and based on the residential spac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categorized the effects of changes in residential pace on the perception of ageism through exploring the mechanism of the residents' movement of house by applying the viewpoint of ageism.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position of most of the residents of elderly welfare housing was high, with high level education and high income, and their forms of residential consumption life also differed from the previous ones due to changes in residential space. Meanwhile, the residents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residential space perception according to changes in ageism perception that they experienced before and after the movement of house. The residents' residential space percep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4 types °™ 'space to cope with aging', 'space separated from ageism', 'space that continues ageism', and 'space causing ageism. Through this research, it could be seen that changes in spatial environment acted as strong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geism perception of elderly people regardless of socio-economic positions of the elderly group. These result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elderly welfare housing policy that emphasizes only physical supply without understanding of elderly people's space perception.
ISSN
1226-588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22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