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민의 국어능력 조사 결과 분석 : Analysis of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the General Public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종철; 김봉순; 박재현; 박현정; 정희창; 주재우; 박은진; 이관희; 이지수; 정재미; 민병곤

Issue Date
2014-06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Citation
국어교육연구, Vol.33, pp. 39-73
Keywords
Korean language proficiency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the general publiclistening proficiencyspeaking proficiencyreading proficiencywriting proficiency, grammar proficiencyscale scoreAngoff국어능력국어능력 평가국민의 국어능력듣기 능력말하기 능력읽기 능력쓰기 능력문법 능력척도 점수앵고프
Description
이 논문은 2013년 국립국어원의 2013년 국민의 국어능력 평가 사업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고 요약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현재 우리 국민의 국어능력이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진단하고, 향후 5년을 주기로 이러한 조사를 정례화하기 위한 체재를 구축하는 데 있다. 연구의 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는 관련 국어정책을 입안하고 일반 국민 대상 국어교육의 틀을 세우는 데 바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장소원 외(2012)의 기초 연구에서 마련한 조사 도구를 보완하여 40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를 점검하였다. 그런 다음 2단계 층화 추출(stratified sampling) 방식과 집락 추출(cluster

sampling) 방식으로 조사 대상을 표집하였으며, 성, 연령대, 지역 규모, 학력군, 직업군의 5개 변인을 설정하여 각 변인별로 실제 인구 분포 비율에 비례하게 조사 대상이 표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는 문항 반응 이론(Item Response Theory) 모형 중 2모수 로지스틱모형을 적용하여 척도 점수(scale score)를 산출하였다. 이에 더해, 조사 결과를 절대적인 지표로 해석하기 위해, 우수, 보통, 기초, 기초 미달로 국민의 국어능력 수준을 등급화하였다. 본 조사는 2013년 9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약 10주에 걸쳐 20세~5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 국민의 전체 국어능력 평균 점수는 579.62점(1000점 만점)으로 분석되어 우리 국민의 전체 국어능력은 평균적으로 보통 등급과 기초 등급의 경계선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말하기와 쓰기 표현 능력이 다른 영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has conducted to evaluat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the general public on five sections, and to construct the system of regularizing this kind of quinquennial survey.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and concrete data from the result of this survey, we expect to plan the relevant Korean language policy and to set up a fram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We have sampled evaluation subject in proportion to the ratio of actual population distribution by controlling 5 factors; sex, age, scale of the area, education background, occupational cluster. The main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about 10 weeks (9.1.13~11.15.13) for 3000 adult males and female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general public have a low level in speaking and writing section.
ISSN
1227-882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26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