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메를로-퐁티의 언어 이론과 철학 개념 : The Theory of Language and the Concept of Philosophy in Merleau-Pon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신화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Citation
철학사상, Vol.51, pp. 227-259
Keywords
Merleau-PontyPerceptionLanguageExpressionConcept of PhilosophyInstitution메를로-퐁티지각언어표현철학 개념설립
Abstract
본 논문은 경험 자체와 경험에 대한 사유 내지 말(하기)의 관계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메를로-퐁티의 초-중기 사유를 중심으로 숙고해보는 데 그 목표가 있다. 메를로-퐁티는 초기의 주요 저작 에서부터 이 물음을 철학의 근본 문제로 제기했다. 경험 자체와 경험에 대한 사유 내지 말의 관계의 문제는 메를로-퐁티에게 있어서는 지각과 언어의 관계의 문제이다. 위 저작에서 그는 우리의 실제적인 경험에 주목해 언어를 분석했고 그 결과 언어를 지각 현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는 언어의 궁극적인 근거를 언어 이전적 존재인 자기의식[암묵적 코기토]에서 찾음으로써, 자신이 도달한 지각과 언어의 구조적 동일성 테제를 스스로 부정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이것의 결과는 경험[지각]에 대한 사유이자 말(하기)인 철학을 지각과의 관련성이 담보되지 못한 언어적 의미의 자기 증폭 과정처럼 만든 것이었다. 이후 메를로-퐁티는 표현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함으로써 자신의 종전의 입장을 근본적으로 비판, 수정해 나갔다. 이제 표현은 구성적 의식의 활동의 결과가 아니라 역으로 의식 자체가 표현적임이 밝혀진다. 이때 설립institution 개념은 경험에 보편적인 표현의 논리로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메를로-퐁티는 지각과 언어의 구조적 동일성을 결정적으로 확립한다. 표현으로서의 언어는 표현으로서의 지각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그런데 이것은 언어가 지각적으로 말하는 의미의 차원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창조적 표현 현상은 언어의 이러한 지각적 의미의 차원을 단적으로 나타내주는 것이다. 1950년대 초-중반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표현 연구의 성과는 그대로 에서 새로운 철학 개념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quire into the relation between experience itself and its linguistic expression in Merleau-Ponty's thoughts during the early and middle phases of his philosophy. Merleau-Ponty posed this question as fundamental from his early main work, Phenomenology of perception. For him, this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experience and its expression is that of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language. He analyzed the nature of language with our actual experience of it and, as a result, he discovered language as a perception. Meanwhile, he looked for the final basis of language in a pre-linguistic being; He denied a structural identity between perception and language as a result of self-consciousness [cogito tacite]. This means that philosophy becomes an auto-amplification of linguistic significations,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perception. However, Merleau-Ponty studied the problem of expression in earnest after writing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nd he criticized his own early position by the root. Now, it turns out that the expression is not a result of constitutive consciousness, but, conversely, the consciousness itself is expressive. The institution here is a universal logic of expression. Merleau-Ponty established a structural identity of perception and language definitely with this concept. Language as expression is structurally equal to perception as expression, and this means that language has a dimension of meaning which is expressed g perceptually. The phenomenon of creative expression shows directly such dimension of language. The outcome of this study on expression in the early and middle 1950s identifies a new concept of philosophy in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ISSN
1226-700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27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