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한미관계의 국제정치적 현실과 국제규범의 긴장 : 한국전쟁시기 미군의 공중폭격과 민간인 보호의 갈등사례 : The ROK-US Relations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Politics : Air Strikes and Civilian Protection in the Korean Wa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지환

Issue Date
2014
Publisher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Citation
미국학, Vol.37 No.1, pp. 5-27
Keywords
ROK-US Relationsthe Korean WarInternational LawInternational PoliticsCivilian ProtectionMilitary Necessity한미관계한국전쟁국제 규범국제정치민간인 보호군사적 필요성
Abstract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올해로 63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전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1953년 맺어진 정전협정에 의해 한반도는 현재 휴전상태에 있지만 전쟁은 종결되지 못하였고 평화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남과 북의 군사적 긴장감은 여전하고, 전쟁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국방력과 한미동맹이 강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전쟁 시기 미군에 의해 발생한 한국인 민간인 집단희생 문제 해결은 여전히 다양한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한미관계는 늘 규범과 현실사이에서 긴장이 존재한다. 한미관계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동맹관계의 국제정치적 현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만, 국제규범의 보편적 적용이라는 측면이 한미관계에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solving the issue of civilian sacrifices by U.S. military strike during the Korean War. It is ineffective if it focuses o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law.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roblematic if it pays attention only to the aspect of international relations because it makes it difficult to make compensation for the sacrificed people. In fact, there is serious tension between civilian protection and military necessity during the wartime. It is very difficult to declare that air strikes are war crimes or the violations of international law. It is also difficult to say that it is just a collateral damage of military operation. In this sense, this paper explains the issue of civilian protection and the tension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military necessity during the Korean War.
ISSN
1229-438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29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er Institutes (연구소, 연구원)American Studies Institute (미국학연구소)미국학미국학 Volume 37 Number 1/2 (2014)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