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족주의 사회와 비혼여성의 새로운 친밀권 : 독신부인연맹(独身婦人連盟)의 사례를 중심으로 : Familialism and Unmarried Womens New Intimate Sphere in Japan : With a Focus 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지은숙

Issue Date
2014-08-15
Publisher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Citation
일본비평, Vol.11, pp. 16-51
Keywords
비혼여성독신여성오히토리사마독신부인연맹도쿠후렌친밀권친밀성느슨한 연대unmarried womenspinsterssingle womenSingle Women’s Associationintimate sphereintimacyweak ties
Abstract
이 글에서는 전후 일본에서 생애미혼자 집단이 어떻게 등장했으며 어떤 방식으로 가족과 다른 친밀권을 형성해 왔는지를 독신부인연맹을 중심으로 살핀다. 독신부인연맹은 독신여성을 팔다 남은 상품으로 비하하는 낙인에 대항해 전쟁독신을 표방하며 1967년에 전국 조직으로 결성된 단체다. 반전 운동, 여성 운동, 독신자 권리 찾기 운동 등을 수행하다가 2002년 공식적으로 해산했다. 독신부인연맹의 결성과 공적 활동은 독신여성들에 의한 대항적 공공권의 창출이라는 의미를 가졌지만 이 글은 이들의 활동이 구축한 독특한 친밀권에 초점을 맞춘다. 사이토 준이치의 친밀권의 정치학은 공공권과 친밀권의 관계를 새로이 규정함으로써 서구 근대성의 공/사 구분을 극복할 수 있는 분석적 도구를 제공한다. 이 글의 분석에 따르면 독신부인연맹이 구축한 친밀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가족도 공동체도 아닌 동일한 입장에 서 있는 사람들의 느슨한 연대였다는 점, 둘째, 장기간에 걸친 일상적 교류와 돌봄의 실천을 통해 서로간의 유대를 단단하게 만들어왔다는 점, 셋째, 장기간에 걸쳐 때로는 가족 대신으로, 때로는 가족과는 다른 친밀권으로서 회원들의 삶의 의지처가 되었다 점 등이다.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인류학의 민족지 조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In light of , this paper deals with how the unmarried womens group emerged in Japan after World War II and how they formed an intimate sphere distinct from families. Formed in 1967 as a national group, proclaimed its members as war singles against the prevalent social stigma that looked down on single women as leftover products in Japan. After engaging in anti-war movement, feminist movement, and single peoples right movement, it officially disbanded itself in 2002. The associations formation and public activities have its significance in creating counter-public spheres for single women; yet this paper focuses on the unique and intimate sphere established by their activities. In his book titled The Politics of Intimate Sphere, Saito Junichi newly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the intimate sphere, providing an analytical tool that can overcom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in western modernit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timate sphere created by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was neither a family nor a community but a loosely formed association of people whose social positions were quite similar. Secondly, their bonds have been consolidated through daily communication and affection among themselv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rd, in a due course, it served as a prop for their members, sometimes either replacing families or becoming another intimate sphere different from a family. This paper adopted the method of ethnography used in anthropological research.
ISSN
2092-68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30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