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본 중세 국가론의 현황과 과제 : Whereabouts and Challenges of Medieval State Theory in Jap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수철

Issue Date
2014-08-15
Publisher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Citation
일본비평, Vol.11, pp. 274-303
Keywords
kenmon systemtogoku statekobu ittotohi gattaimedieval state theory권문체제동국국가공무일통도비합체중세국가론
Abstract
일본 중세 국가론을 분류하면 크게 ① 하나의 국가(권문체제론), ② 두 개의 국가(동국국가론), ③ 국가 존재의 부정(중세 무국가론)이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론은 중세 전기에 해당하며 중세 후기 무로마치 시기는 통일된 국가론이 없다. 무로마치 전기는 중앙 권력 분석에 치중하고 있고, 후기는 재지의 자율성 혹은 지역 권력의 자립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 중세 전체상을 확립하기 위해 우선 무로마치 시대상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권문체제론의 극복이다. 권문체제론은 가마쿠라 시기까지 비교적 잘 들어맞지만 무로마치 시대는 그렇지 않다. 권문체제론을 무로마치 시대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가는 여전히 중요 과제이다. 둘째, 무로마치 시기 전기는 중앙 권력에, 후기는 재지 사회에 초점을 맞춘 연구 관점의 극복이다. 중세 후기 통일된 국가론이 없는 주된 원인은 여기에 있다. 무로마치 시기 공무일통과 도비합체로 상징되는 중앙 권력에로의 구심력이 여전히 존속했음에 유의해야 한다. 셋째, 공무통일정권론의 계승과 극복이다. 오해의 소지가 있는 통일이란 용어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오히려 사료 용어인 공무일통의 일통(一統)이 보다 타당하다. 권력 구조면에서는 전주 이외의 요소를 발굴할 필요가 있으며, 혈통, 종교 이데올로기 등 종래 소홀히 다루어왔던 분야에도 유의해야 한다.
There are generally three types of medieval state theory: 1) one-state (kenmon system) theory, 2) two-state (togoku state) theory, and 3) non-state (medieval non-state) theory. These theories mainly deal with the first half of medieval era, and there is no unified state theory that deals with the Muromachi or second half of the medieval period. This is because the analysis of first half of the Muromachi era focuses on the central power while for the second half it emphasizes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regional power. In order to draw a comprehensive picture of medieval Japan, there are several tasks that lie ahead that are necessary before reestablishing the image of the Muromachi era. First, a theory must be suggested that could replace kenmon structural theory. While kenmon theory can comparatively explain the status of state up until the Kamakura period, it fails to take account for the Muromachi era. How to link kenmon structural theory to Muromachi era remains to be one of the significant challenges. Second, a new theoretical approach must overcome the overemphasis on the central power of the first half of the Muromachi era as well as on the local powers for the latter half of the period. This is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e absence of unified state theory for the analysis of the later medieval period.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continuous centripetal force that symbolized kobu itto and tohi gattai (coalition of city and rural). Third challenge is the a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bu toitsu seiken (unified publicmilitary administration). The term toitsu can be misleading, and it is more accurate to use the word itto, which was used as the official term at the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structur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ch factors as bloodline, religions, and ideologies.
ISSN
2092-68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30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