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8세기말 전국 지리지 <해동여지통재(海東輿地通載)의 추적 : The tracking of Haedongyeojitongjae(海東輿地通載) : National geographical book in the end of 18th centu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진석

Issue Date
2013-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규장각, Vol.43, pp. 31-71
Keywords
Haedongyeojitongjae海東輿地通載Haedongeupji海東邑誌Jeongjo正祖Hongjaejeonseo弘齋全書JeolladoEupji全羅道邑誌해동여지통재해동읍지정조홍재전서전라도읍지
Abstract
정조대에 해동여지통재60권이 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당대에 제작된 실물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정조대에 제작된 읍지들이 많지만, 해동여지통재로 명명된 원본 형태의 읍지를 찾아보려는 노력이 거의 없었다. 이 글에서는 정조대의 기록들을 이용하여 해동여지통재로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상정하고, 읍지의 내용을 분석하거나 혹은 목차구성의 유사성을 통하여 추정하여 보았다. 정조대에 작성된 읍지 중 전라도의 읍지들을 주 대상으로 삼아 내용상 해동여지통재로 추정되는 것들을 찾으려 하였다. 그 중에서는 정조의 요구와 맞아떨어지는 형태의 읍지들이 있었다. 그리고 후대에 다시 베껴서 재작성한 것들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동여지통재의 계열에 속하는 것은 이전 읍지인 여지도서에 비해 통치와 관련한 항목을 새롭게 설정하였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을 실었다. 그리고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하려 한 것중 하나로 樓亭 조는 관련된 문학작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싣고 있어서 여지도서와 다른 모습을 모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정조가 지리지 제작과정에서 일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듯이, 해동여지통재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 중에는 여지도서를 그대로 베끼거나 혹은 이전의 내용에 새로운 항목을 더하는 정도의 것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해동여지통재는 이후의 읍지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순조 대에 작성된 읍지 중 경상도의 것은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읍지 상송령에 의하여 1894년 이후 혹은 1899년 이후에 작성된 것 중에는 해동여지통재를 필사한 흔적들이 남아 있다. 이것들은 정조후반에서 순조 대에 이르는 시기에 작성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해동여지통재에 대한 좀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다는 측면과 현재 남아 있는 읍지들 중에서도 해동여지통재의 원본 내지 그 흔적을 찾으려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측면을 언급하려 하였으며,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known that 60 books of Haedongyeojitongjae were made in the era of King Jeongjo(정조), but nothing has been remained. There are many Eupjis made in the era of King Jeongjo, but less research has been done to track the original type of Eupji named Haedongyeojitongjae. This research developed a model that can track Haedongyeojitongjae by using the historic record in the era of King Jeongjo, and tracked the original type of Haedongyeojitongja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Eupji and comparing the similarity of the table of contents. This study selected Jeolla-do Eupji among those made in the era of King Jeongjo as main research area, and tried to find Eupji that can be considered as Haedongyeojitongjae. There are some Eupjis that fit for the purpose of Jeongjo. There are also some Eupjis copied later.
ISSN
1975-628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33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