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 判付의 작성절차와 서식 연구 : A study on Pan-boo(判付) system in the Late Joseon Perio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명경일-
dc.date.accessioned2014-10-02T00:54:21Z-
dc.date.available2014-10-02T00:54:21Z-
dc.date.issued2013-12-
dc.identifier.citation규장각, Vol.43, pp. 191-243-
dc.identifier.issn1975-628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3320-
dc.description.abstract조선시대 주요 관아가 각자 맡은 업무에 관하여 국왕에게 아뢸 때 사용한 문서를 계啓라고 했다. 그리고 啓에 대한 국왕의 처결을 判付라고 했다. 본 논문은 판부의 작성 절차와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국왕의 재결이 어떠한 체계에 따라 진행되었는지 밝히는 내용이다. 판부는 승지가 啓 문서 좌측 여백에 작성하며, ①啓字印과 ②立月, ③啓자, ④처결내용, ⑤담당승지의 직함 및 서명으로 구성된다. 배치방식은 ①계자인이 가장 안쪽(우측)에 위치하고 순서대로 좌측에 위치했다. 계자인은 대개 내관이 답인하며, 판부의 내용을 공증하는 기능을 했다. 입월과 계자는 모년 모월 모일에 아뢰었음을 뜻하며, 판부가 담고 있는 국왕의 명령이 발하는 시점을 표시했다. 처결내용은 啓 문서에서 보고하거나 건의한 사안에 대한 국왕의 답변이다. 그리고 판부의 작성자인 승지의 직함과 서명을 표기함으로써 작성 내용에 책임을 지고 후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 대비했다. 다음으로 승정원에서 啓 문서를 출납하는 일체의 과정은 판부의 작성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각 관아에서 접수한 문서를 국왕에게 入啓하는 방식은 내관을 통해 대내에 간접적으로 전하는 형식과 승지가 입시하여 직접 전하는 형식이 있었다. 승지가 입시하여 국왕에게 직접 啓 문서를 입계하는 것을 承旨親啓라 한다. 입계 방식이 승지친계일 경우, 판부의 구성요소 중 ③啓자는 親啓라고 적는다. 판부를 작성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啓字印을 찍어서 승지에게 내려주면, 승지가 ②立月에서부터 ⑤직함 및 서명을 표기하는 순서에 따라 진행되었다. 그러나 형벌을 주거나 상이나 관작을 주는 경우 등 주요한 사안에는 계자인을 찍는 순서가 달라진다. 즉 국왕이 승지가 적은 처결내용을 검토한 후 계자인을 찍는데, 이를 還判付라고 했다. 환판부는 구성요소의 배치 방식이 일반적인 배치와 달랐다. 즉 ②立月, ③啓자, ④처결내용이 계자인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판부는 啓 문서 여백에 작성되지만 별도의 서식을 갖고 있는 국왕 문서의 일종이었다. 그리고 작성자인 승지가 국왕의 명령을 대신 전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즉 조선시대 국왕의 재결활동은 승지가 국왕의 명령을 대신 전하는 구조를 통해 이루어졌던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Gye(啓) means the document about official duties sendimg to the King. It was only available to a limited major government office. In the Joseon Period, The Kings answer about issues presented in the document was called 'Pan-boo(判付)'. This research concerns the process and form of Pan-boo(判付). Pan-boo(判付) was written on the left margin of the Gye(啓). Officials that have written the Pan-boo was Seungji(承旨). Pan-boo was composed of the five elements. First is the Gye-ja(啓字). It was a kind of seal owned by the King. The letter carved on bottom of the seal was Gye(啓). Imprinting on the margins was the meaning of the king's Notarization. The second is the date(Ip-wol 立月). It showed the date of King's command. The third is writing down one character. The one character is Gye(啓). The second and third elements means was reported to the king on that date. Fourth element is containing the contents of the King's answer. The fifth is the signature of the person who wrote the Pan-boo. Method of writing each elements Was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handling documents. Phrases of the each elements has been changed by the process of handling documents. And it was also able to change placement of each element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2년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연구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dc.subjectJoseon Period-
dc.subjectGye(啓)-
dc.subjectPan-boo(判付)-
dc.subjectSeungji(承旨)-
dc.subjectKing-
dc.subjectdocument-
dc.subject조선후기-
dc.subject국왕-
dc.subject判付-
dc.subject-
dc.subject入啓-
dc.subject親啓-
dc.subject啓下-
dc.subject判付規式-
dc.subject判付笏記-
dc.subject裁決-
dc.subject承旨-
dc.subject啓字-
dc.subject立月-
dc.title조선후기 判付의 작성절차와 서식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Pan-boo(判付) system in the Late Joseon Period-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yung, Gyung Il-
dc.citation.journaltitle규장각-
dc.citation.endpage243-
dc.citation.pages191-243-
dc.citation.startpage191-
dc.citation.volume4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