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대외 한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향 : Overview and Improving Direction of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현식-
dc.date.accessioned2015-01-16T05:05:47Z-
dc.date.available2015-01-16T05:05:47Z-
dc.date.issued2014-12-
dc.identifier.citation국어교육연구, Vol.34, pp. 119-179-
dc.identifier.issn1227-882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3757-
dc.description2014년 제 16회 국제학술회의 : 각국의 대외 자국어 교육 정책 비교 연구-
dc.description.abstract한국어는 세계 13위권의 대국언어이다. 한국어는 인구, 정치, 경제, 문화자본의 관점에서 언어활력이 높은 나라이므로 국내외 한국어교육도 활발하지만 한국어 교육정책에서는 국가정책적 의제와 목표가 불분명하고 정책기관들의 정책이 중복적, 비체계적, 비효율적이며 수요자보다 공급자 중심의 정책이고 정책기관들의 연결이 비효율적 구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의 대안으로는 국가적으로 대외 한국어교육을 위해 장기적 의제와 목표를 설정하고 한국어교육기관들의 조직과 체계를 효율적, 체계적, 유기적 조직으로 재조직하고, 국내법과 국제기준으로 걸맞게 만들고 정부 간섭을 줄이고 민간 차원의 역할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한국어교육의 핵심 이론인 학습동기론과 이중언어론을 활성화하여 한국어의 위상론, 정체성론, 문화비교론을 바탕으로 재외동포 자녀들이 한국어교육의 학습동기를 강화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강력한 학습동기를 토대로 가산적 이중언어 사용자로서 당당히 이민사회에서 주류사회에 동화되지 않고 주류사회에 진입하여 모국어와 현지어 사이에서 두 언어문화에 대한 다문화정체성, 통합적 정체성을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의 통합적 목표를 설정하고, 관련 기관들의 전문성을 유기적으로 강화하고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정에서부터 학습동기와 정체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가정과 한글학교와 지역학교와 한인공동체가 협력하는 구체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Korea shows high ethnolinguistic vitality in views of demographic capital(language population), politic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policy has no agendas and its system for carrying out policies is not systemic. Policies are usually made by focusing on needs from suppliers rather than user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conducting policies. Projects of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are overlapped and rather inefficient. The network is not being utilized efficiently. Alternatives for policies are these; Relevant organizations need to be reformed so that a system for establishing and carrying out policies can be integrated more organically. Efficient policy instruments and a policy framework, which corresponds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need to be developed by including the network business in long-term national policy agendas. The core theories of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trengthening of a learners motivation and strengthening of bilinguality. Overseas Koreans should be integrated, not assimilated, as bilingual Koreans in the main society, and be additive, not subtractive, as bilingual Koreans.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dc.subject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dc.subjectlanguage policy-
dc.subjectlearning motivation-
dc.subjectbilinguality-
dc.subjectethnolinguistic vitality-
dc.subjectadditive bilinguality-
dc.subjectsubtractive bilinguality-
dc.subject한국어 교육정책-
dc.subject언어정책-
dc.subject학습동기-
dc.subject이중언어-
dc.subject언어활력-
dc.subject가산적 이중언어-
dc.subject감산적 이중언어-
dc.title한국의 대외 한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향-
dc.title.alternativeOverview and Improving Direction of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in, Hyunsik-
dc.identifier.doi10.17313/jkorle.2014..34.119-
dc.citation.journaltitle국어교육연구-
dc.citation.endpage179-
dc.citation.pages119-179-
dc.citation.startpage119-
dc.citation.volume3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