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국제대학원)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일본연구소)
일본비평(Korea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JJS)
일본비평(Korean Journal of Japanese Studies) Volume 12 (2015. 02.)
젠더 분석을 통한 일본의 지방정치 읽기
- Authors
- 신기영
- Issue Date
- 2015-02-15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Citation
- 일본비평, Vol.12, pp. 290-307
- Description
- [특별서평] 1. 大山七穂· 国広陽子, 『地域社会における女性と政治』, 東海大学出版会, 2010.
2. Sherry L. Martin, Popular Democracy in Japan: How Gender and Community are Changing Modern Electoral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
3. Robin M. LeBlanc, Bicycle Citizens: The Political World of the Japanese Housew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尾内隆之訳, 『バイシクル·シティズン‒「政治」を拒否する日本{の主婦』, 勁草書房, 2012.
4. Robin M. LeBlanc, The Art of the Gut: Manhood, Power, and Ethics in Japanese Poli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 Abstract
- 일본 정치를 이해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지금껏 주류 일본정치학은 일본 정치를 이해하는 데 젠더라는 분석시각의 유용성에 대해 거의 무관심으로 일관했다. 그러나 일본 정치에서도 다른 정치체제에 못지않게 젠더는 언제나 중요한 문제였다. 누가 근대 정치체제에 참여할 시민으로서의 자격이 있는가를 의미하는 20세기 초 참정권 논의를 통해 보통 남성이 신민에서 시민으로 확대 포섭되는 과정에서, 여성은 미성숙한 정치 주체로서 정치 집회에서 발언하거나 참여하는 것조차 법률로 금지되었다. 전후 헌법과 선거법이 개정되어 여성도 유권자 및 피선거권자가 된 후에도 일본의 민주주의 정당정치는 철저하게 남성의 영역이 되어 여성의 형식적인 (법률적인) 권리가 실질적인 정치대표성 확보로 이어지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치에서 여성은, 앞서 언급한 정치에서 미숙이나 자격미달의 기호로써 뿐만 아니라 새 정치나 생활정치같은 새로운 정치적 이슈의 상징으로도 흔히 사용되어 왔다. 또한 여성들은 제도 정치 밖에서 다양한 형태로 정치 활동에 참여하여 왔다.
- ISSN
- 2092-6863
- Language
- Korean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