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에밀리 디킨슨의 움직이는 시학 : Emily Dickinsons Changing Poetics Eu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의영

Issue Date
2014-11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Citation
인문논총, Vol.71 No.4, pp. 81-112
Keywords
에밀리 디킨슨육필원고 연구편지봉투 시움직이는 시학물질성Emily Dickinsonmanuscript studiesenvelope poemschanging poeticsmateriality
Abstract
본고는 에밀리 디킨슨의 육필원고 연구의 성과를 점검하고 그 성과를 기반으로 디킨슨의 시학을 새롭게 조명한다. 기존의 디킨슨 연구자들은 디킨슨의 원고묶음을 최고의 성취로 평가했다. 그러나 육필원고 연구는 디킨슨의 창작기법이 최소한 세 단계를 거치며 변화했음을 실증적으로 도출했다. 이를 근거로 디킨슨의 시학도 변화했음을 짐작할 수 있으나, 육필원고 연구자들은 실증적 방법론에 치우쳐 원고의 물질성과 시적 의미를 연동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 디킨슨의 시학은 움직이는 것이라는 전제 하에 본고는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육필원고의 물질적 특성이 시적 의미를 강화하고 때로는 변질하는 방식을 추적한다. 우선 디킨슨이 원고를 묶는 행위를 포기한 과도기의 증폭된 자의식을 조명한다. 개별 시는 시퀀스로부터 풀려남으로써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모색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 디킨슨은 일상에서 발생하는 종잇조각에 시상을 적었는데, 이 원고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다. 그러나 본고는 이 시기의 디킨슨 원고에서 완성에 대한 의식적인 거부를 읽어내고, 후기 시학을 탈맥락화에 대한 완강한 저항으로 해석한다. 해체한 편지봉투에 디킨슨이 남긴 글은 1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편지봉투의 모습으로 독자 앞에 모습을 드러냄으로써 디킨슨의 미학적 전략의 위력을 방증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가 주장하는 바는 기존 독법을 파기해야 한다는 것도 아니고 모든 디킨슨 학자가 아카이브로 향해야 한다는 것도 아니다. 두 진영이 협력할 때 비로소 실증적 증거가 유의미한 해석으로 이어져 디킨슨의 시세계를 조명하는 통합적인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This essay challenges the idea that Emily Dickinsons fascicles represent a highpoint in her poetic creativity. Scholars who have studied Dickinsons manuscripts have uncovered the full trajectory of Dickinsons changing poetics. After producing forty fascicles, Dickinson gradually stopped binding the sheets of stationery on which she had transcribed her poems. Understanding this as a conscious aesthetic decision sheds new light on Dickinsons post-fascicle writing. The unbound bifolum sheets of the middle period reveal Dickinsons acute self-consciousness about her decision not to bind her poems. Poems from this period show that Dickinson was fascinated by the aesthetic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presented by not binding her poems. In the final decade of her life, Dickinson dispensed with formal stationery altogether, electing to write on scrap pieces of paper. This phase of her writing is understudied because the critical consensus until recent years has been that these scraps are not quite poems. By examining two envelope poems, this essay reveals that Dickinson worked against the possibilities of abstraction and transference by refusing to finish her poems. In this final stage, her experimentation extended to include the very material on which she wrote.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findings of Dickinson manuscript studies need to be embraced by scholars to appreciate the full scope of Dickinsons creative practice and to gain a contextualized understanding of individual poems.
ISSN
1598-302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40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