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세기 거제도 舊助羅 촌락민의 職役變動과 家系繼承 양상 - 『項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Geojedo Gujora(舊助羅) villagers change of occupation and succession of pedigree in the 19th century – Based on Hangihojukjungcho(項里戶籍中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양섭

Issue Date
2014-09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한국문화, Vol.67, pp. 119-161
Keywords
GeojeDoGujoraJikyeok(occupation)Ejungjikyeok(二重職役: Doubled occupation)GagegyesungJikyeoksunggye(職役承繼: succession of occupation)
Abstract
호적대장에 담긴 직역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는 조선후기 신분변동의 사회상을 계량적으로 지지해주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근자에 이루어진 단성 · 대구 등 각 지역 호적대장에 대한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베이스는 연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고 이를 바탕으로 제출된 일련의 실증 연구는 호적대장의 정보를 곧바로 사회신분제의 변동이나 붕괴를 보여주는 근거로 활용하는 통설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19세기 역동적인 신분제 해체상과 사실상 등치되어 왔던 직역변동의 구체적인 양상은 그것이 가진 사회신분제와의 관련성을 감안하더라도 그 자체로 합리적 해석이 곤란한 여러 가지 난제를 안고 있음에 분명하다. 그것은 다름 아닌 직역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진 국가적 차원의 인민파악 방식과 관련된 문제였다. 이른바 직역체제는 사회신분제의 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그 자체로 독자적인 운영원리를 가진 범주였다. 직역을 둘러싸고 여러 가지 과제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19세기 호적대장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유학 직역으로의 통합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은 이 시기 사회상과 관련하여 해명하지 못한 오랜 과제 중 하나이다. 同 시기 幼學의 폭발적 증가는 이 글이 분석대상으로 삼는 거제도 구조라 마을도 예외가 아니었거니와 육지와 이격된 도서 · 어촌 지역이라는 점은 본 연구가 특수한 성격을 가진 개별사례로서 한계를 벗어날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러한 점이 오히려 내륙지역의 사례에 비해 직역의 운동양상을 단기적이고 압축적인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직역체제를 관통하는 원리적 측면을 보다 명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 주 자료로 활용할 『項里戶籍中草』를 포함한 舊助羅(項里) 마을 古文書群은 지난 1994-1995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의해 조사가 진행되어 그 현황에 대한 상세한 소개가 이루어진 바 있다. 이후 이들 고문서를 활용한 성과가 몇 편 제출되었다. 즉, 구조라 인근 수군진과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호적중초를 분석하여 마을민의 생활상을 살피고자 한 연구, 구조라 마을의 사회상을 검토하면서 호적중초를 통해 구조라 마을의 혼인양상 · 양자입양 · 가족구조 등을 살핀 다음 書目 · 完文 등에 나타나는 인물과 호적중초의 내용을 연결시켜 당해 戶와 가족의 변화를 고찰한 논고가 그것이다. 이들 연구는 대부분 호적중초를 중심으로 구조라 마을에 부과되는 각종 부세운영의 실태를 소개하면서 호와 가족구조의 특성을 밝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지적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 중 하나는 이들 연구가 모두 호적대장에 등재된 戶口가 현실사회의 자연가호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호적대장의 호에 대한 성격을 둘러싸고 진행된 근자의 硏究史를 전혀 의식하지 않은 것으로 구조라 호적중초에 담긴 주요 정보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가 거의 없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라 호적중초에 대한 분석도 자체에 담긴 각종 정보에 대한 기초적 분석을 바탕으로 국가의 호구정책과 직역운영의 전반적인 추세를 감안하면서 촌락내부의 사회실상을 통일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구조라 마을은 연해 도서지역이라는 자연지리적 입지와 함께 경상우수영 관할수군진이 밀집된 군사지역이라는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구조라의 직역변동이 자체의 사회적 ·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수군진 운영의 磁場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호적중초에 현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조라 마을은 다른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직역변동의 추세에 휩쓸리면서도 군역 · 신역제의 완고한 존속을 강제당하는 위치에 있었으며 이상의 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타 지역과 구별되는 마을 특유의 직역변동 양상을 드러내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19세기 구조라 마을 호적중초의 분석을 통해 직역변동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 차원의 대민 파악과 사회적 수준의 家系가 만나는 접점에서 나타나는 제반 특성을 밝힘으로써 국가적 차원의 직역운영과 사회적 차원의 신분변동을 통일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출발로 삼고자 한다. 이는 국가권력 침투의 최말단인 촌락 수준에서 표출되는 지배와 대응의 역등성이 촌락민의 삶을 어떠한 형태로 규정하고 있는지 고찰하기 위한 전제이기도 하다.

Gujora village in Geojedo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s fishing village and military area. People who are registered as Yuhak(幼學) in the Hojuk(戶籍) were apparently Yangban. However, it cannot be regard literally as Yangban and it is doubtful that they could be the beneficiaries of exemption from military service. And also Ejungjikyeok(二重職役: Doubled occupation) which widely appeared was appeased the evasion of military service and the intermediation to move toward the upper group from the Juho(主戶) occupation. Although there were numerous limitations, their movement toward the upper occupation continued. It was the result of compromise by th government which wanted to secure military service personnel and commoners who wanted to improve their social position. Each persons pedigree who lived in Gujora village indicates that the occupations are distributed well and who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ion. Occupations basically succeeded to the first son and if the first son died early or breaks away from the kinship bonding, then it is succeeded by the nest son (次子). Also even if they have the same Bonkwan(本貫), the distribution of occupation was processed based on the pedigree which is regarded as the same kinship. And if one who is regarded as a breakaway from the kinship bonding, a different form of occupation succession was applied.
ISSN
1226-83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09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