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식성 이론에서의 사회적·언어학적 전환에 대한 회고의 전망 : The Social and Linguistic Turns in Literacy Theory A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View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데이비드, 블룸-
dc.contributor.author김민영-
dc.date.accessioned2016-01-18T08:33:28Z-
dc.date.available2016-01-18T08:33:28Z-
dc.date.issued2015-12-
dc.identifier.citation국어교육연구, Vol.36, pp. 495-533-
dc.identifier.issn1227-882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5259-
dc.description.abstract문식성 및 언어 교육 연구는 그 학문의 발달에 있어 사회과학에서의 언어적 전환과 문식성 연구에서의 사회적 전화이라는 두 차례의 철학적 전환을 경험했다. 이 두 전환점은 문식성의 정의를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탈맥락화된 인지적 언어적 기능으로서의 문식성에서 문자 언어가 중요하게 사용되는 사회적 실행으로서의 문식성으로-, 언어와 문식성, 심지어는 인간성의 본질에 대한 이해까지도 변화시켰다. 사회적 전환과 언어적 전환은 문식성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문화적·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않으며, 국지적 혹은 포괄적 사회·경제·정치적인 맥락에서 분리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고는 먼저 사회과학에서의 언어적 전환과 문식성 연구에서의 사회적 전화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실제 교실에서 일어나는 문식성 사건의 분석이 이 두 전환을 어떻게 반영하고 변형시키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실제 7학년 국어 수업을 분서하였다. 실제 교실 수업을 분석함으로서 학생들이 어떻게 문식성을 하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는데, 특히, 개인이 속한 세계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도구로서 텍스트를 사용하는 방식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of literacy and language education has undergone two major philosophic shifts in its evolution: the social turn in the study of literacy and the linguistic turn in the social sciences. These shifts have changed not only what counts as literacy – from a set decontextualized cognitive and linguistic skills to social practices in which the use of written language is non-trivial -, but also what the nature of language, literacy, and even personhood is. These turns also have revealed that the work of teaching and researching of language and literacy does not exist as culturally and politically neutral, separable from local and globa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In this manuscript, we briefly review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of the linguistic turn in the social sciences and the social turn in the study of literacy. To illustrate how close analysis of classroom events reflects and refracts the linguistic turn and the social turn, we focus on analysis of a seventh grade classroom language arts lesson. Analysis of the classroom lesson reveals how students are doing literacy by using the text as a tool and prop for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dc.subject문식성-
dc.subject읽기-
dc.subject쓰기-
dc.subject사회적 실행-
dc.subject담화분석-
dc.subject내러티브-
dc.subject교실-
dc.subject언어 변이-
dc.subject언어 이데올로기-
dc.subjectliteracy-
dc.subjectreading-
dc.subjectwriting-
dc.subjectsocial practice-
dc.subjectdiscourse analysis-
dc.subjectnarrative-
dc.subjectclassrooms-
dc.subjectlanguage variation-
dc.subjectlanguage ideology-
dc.title문식성 이론에서의 사회적·언어학적 전환에 대한 회고의 전망-
dc.title.alternativeThe Social and Linguistic Turns in Literacy Theory A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View-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David, Bloome-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Minyoung-
dc.citation.journaltitle국어교육연구-
dc.citation.endpage533-
dc.citation.pages495-533-
dc.citation.startpage495-
dc.citation.volume3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