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안나 아흐마토바의 타시켄트 시절: 시 창작의 두 갈래와 이중의 자기정체성 탐색 : Анна Ахматова в Ташкенте(Anna Akhmatova in Tashk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명현

Issue Date
2015-11-30
Publisher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Citation
러시아연구, Vol.25 No.2, pp. 203-227
Keywords
안나 아흐마토바타시켄트레닌그라드전쟁 시아시아-동방 시자기정체성자기신화화Анна АхматоваТашкентЛенинградвоенная лирикалирика об Азии-Востокесамоидентичностьавтомифологизация (Anna Akhmatova, Tashkent, Leningrad, War Poems, Lyrics of Asia-East, Self Identity, Self-Mythologizing)
Abstract
안나 아흐마토바는 독소전쟁이 벌어지던 1941년 11월부터 1944년 4월까지 약 2년 반 동안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시켄트에 체류하였다. 전시의 타시켄트에서 아흐마토바는 예술가이자 애국적인 소비에트 시민으로서 창조적이고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 타시켄트 시절에 씌어진 그녀의 서정시들은 두 가지 계열로 나뉜다. 하나는 전쟁 시 계열이고, 다른 하나는 아시아-동방 시 계열이다. 전자에는 전쟁의 화염에 휩싸인 레닌그라드의 당대 현실이 형상화되는 반면, 후자에는 고대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탈역사적인 타시켄트의 풍광이 그려진다. 타시켄트 시절을 특징짓는 창작의 두 갈래는 양 방향으로 이루어진 자기정체성의 탐색과 확립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볼 수 있다. 전쟁시 계열에서는 러시아인 혹은 러시아 국민시인으로서의 자의식이 두드러지는 반면, 아시아-동방 시 계열에서는 아시아와의 친연성, 아시아인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이 부각된다. 아울러 후자에서는 타시켄트라는 구체적 지명이 줄곧 아시아 혹은 동방 이라는 보편적 범주로 대체되고, 시인의 또 다른 집 고향으로 간주되는 점이 특징적이다. 언급된 양 방향의 자기정체성 탐색은 일견 조화롭게 양립하는 듯하다. 그러나 유럽인-타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뚜렷하게 표명하고 있으며, 타시켄트를 타향으로 규정하고 있는 시 「사이클 타시켄트의 지면들에서」에서 드러나듯이 그러한 이중적 자기정체성 탐색의 기저에는 레닌그라드-유럽-서방-고향 vs. 타시켄트-아시아-동방-타향이라는 오리엔탈리즘적 반정립이 작동하고 있다.

Осенью 1941 года, когда началась ленинградская блокада, Анна Ахматова была эвакуирована в Ташкент. Стихотворения, написанные в этот период, можно разделить на два ряда: одни принадлежат ряду военной лирики, а другие – лирике об Азии-Востоке. Первый ряд посвящен нынешнему положению осажденного Ленинграда, который преодолеет суровые истори-ческие испытания, а второй – внеисторической и мифической картине Ташкента, где сохранён древнейший целомудренный образ жизни и природы Азии-Востока. Это разнородное содержание можно рассмотреть с точки зрения поиска двойной самидентичности – я – русский народ и я – азиатка. Отмеченная двойная самоидентичность дана как непротиворечивое начало в рамках ташкентских текстов. Но анализ стихотворения «Из цикла Ташкенские страницы», написанного 17 лет спустя после эвакуации, показывает, что двойная поэтическая самоидентичность содержит в себе ориенталистическую антитезу Ташкент-Восток-чужбина vs. Ленинград-Запад-родина. И изображение самого себя как таинственного мифического бытия-азиатки, которое происходит в лирике об Азии-Востоке, считается одним из различных аспектов единого процесса ахматовской авто-мифологизации.
ISSN
1229-10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2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