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이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차원과 그 영향요인: 차별인식과 일-가정양립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Multi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Working Mothers: A Focus o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Work-Family Suppor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원숙연

Issue Date
2015-09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 53 No. 3, pp. 57-81
Keywords
직무만족여성차별인식일-가정양립지원조직특성Job SatisfactionWorking MothersPerceived Discriminationwork-family accommodation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여성이 인지하는 차별인식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추상적이고 포괄적으로 직무만족에 접근한 기존연구와는 달리 직무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하위차원을 구분하고(발전가능성, 안정성, 근로조건 및 임금), 각각의 차원별로 영향요인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하였다. 기존논의에서 주로 다루었던 개인특성과 조직특성 요인만이 아니라 여성의 차별인식과 일-가정 양립지원으로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였다.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개념적 분석모형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2,310명의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직무차원에 따라 차별인식과 일-가정 양립 지원을 비롯한 영향요인의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직무의 발전가능성은 임금수준, 노동지위, 조직유형, 업무차별, 혼인, 학력, 출산휴가 그리고 육아휴직 순으로, 안정성은 노동지위, 임금수준, 출산휴가, 조직유형, 조직규모, 혼인, 업무차별, 승진차별, 육아휴직 순으로 나타났다. 근로조건은 조직유형, 노동지위, 학력, 연령, 혼인, 승진차별, 임금수준, 업무차별 순으로, 임금만족은 임금수준, 혼인, 조직유형, 임금차별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차별인식 중 업무배치 및 보직차별 그리고 승진차별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일-가정 양립지원 정책 중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은 직무의 발전가능성과 안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임금수준, 조직유형, 혼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도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examines the antecedents of job satisfaction,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daily experiences of working mother. In particular, the main focus in o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ocial support for work-family accommodation in organizations. In so doing, this study divides the construct of job satisfaction into four sub-dimensions: satisfaction with potential, job security, general working conditions, and wages as perceived by working mothers. Unlike existing studies that mainly focus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the main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ocial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in organizations. Empirical data is drawn from 2,301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Concerning the findings, the variables of wage level, working status, working sectors, discrimination of job per se, marital status, education, m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have significant impact regarding satisfaction with job potentials. Then, working status, wage level, maternity leave, organization size and type, marital status, job discrimination, and promotion influence satisfaction with job security. For satisfaction with wages, the wage level, marital status, organizational type, and wage discrimination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pth.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3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