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内傳にみる道敎修行の過程と世界の構造 : 내전을 통해 본 도교수행의 과정과 세계구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金 志 玹

Issue Date
2014
Publisher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Citation
종교와 문화, Vol.26, pp. 185-217
Keywords
道敎上淸經内傳修行のモデル螺旋的上昇過程神聖空間の 構造도교상청경내전수행의 모델나선적 상승과정성산과 천계의 지도DaoismShangqing ScripturesThe Highest Clarity DaoismInner BiographyModel of PracticeSpiral Process of TranscendenceSacred Geography
Abstract
内傳の成立は,東晉興寧二年(364)を前後に,丹陽句容(現江蘇省鎭江市)に て起きた「茅山の啓示」と密接に關わっている.それは,仙人魏夫人を始とする衆 眞が,許謐(303-376)の一家に降臨して,靈媒楊羲(330-386?)を通じて敎 えを口授し,上淸經を傳授したことである.その啓示の内容は,許謐・許翽(許謐 の三男,341-370)・楊羲の三人の手稿(三君手書)を集め,それに注を加えて編 纂した陶弘景(456-536)の『眞誥』によって窺える1). 内傳が上淸經の成立と不可分の關係にあり,上淸經の修行者たちに修行の模範と なっていたことについては,すでに先學の指摘がある.小南一郎氏は,小說『漢武 帝内傳』の研究において,内傳が讀みのもと轉化する前には,宗敎的信仰と實践の 對象であったことを明らかにし,内傳の内容について,單に人物の傳記を記錄した ものに止まらず,その書物自体が一つの道敎修行の指針として修行者たちにさまざ まな敎えを垂れるものであったと指摘した2).さらに,内傳はその中に上淸經の題 目を記しており,經典自体を内包していることもあった.麥谷邦夫氏は,『黄庭内 景經』が本來『魏夫人内傳』の中に含まれており,許翽が内傳から『黄庭内景經』 を抜き書きして單行したことを指摘し,さまざまな上淸經がそれと同樣に,内傳か ら獨立して成立した可能性を示唆した3). 以上の指摘はいずれも意味深く,上淸經成立を理解する上で重要であるが,今ま で『紫陽眞人内傳』以外の内傳については,まだ充分に檢討されていない.本稿で は先學の指摘を踏まえ,上淸經と密接に關連する『三茅君傳』『淸靈眞人裴君傳』 『紫陽眞人内傳』『魏夫人内傳』『淸虛眞人王君内傳』の五種の内傳を取り上げ, それらに共通して見られる修行のパターンを分析する. 結論を一つ先取るならば,これらの内傳には周遊天下, 遊行名山という共通の テーマがある.名山の遊覧,天下の周遊には,五嶽を初めとする傳統的な名山のみ ならず,江南地域の名山,架空の洞天・神山,さらに上淸經で初めて見られる天 界・天宮も含まれている.つまり内傳は,上淸經が描いている神聖空間と世界の構 造を示す,聖なる地理志という性格を持っているのである.それらの空間の性格に ついて考察することは,上淸經の示す世界觀を理解する上でも重要である.本論文 では,内傳が示す修行の過程,および神聖空間に對する分析を通じて,それらが後 の道敎史上に持つ意義について考えていきたい.
내전(內傳)은 중국의 남북조시대에 나타난 도교 신선(眞人)들의 전기이다. 초기의 주요 내전들의 성립은 4세기 후반, 동진말 모산(茅山)에서 일어났던 진인들의 계시와 상청경(上淸經)의 성립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내전은 전기의 성격을 갖지만 정사(正史)의 전기와 같이 역사적 인물의 생애와 언행을 기록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의(奧義)를 의미하는 내(內)가 상징하듯, 주인공인 도교수행자가 상청천의 진인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그 내용 가운데는 종교적 수행과 실천, 수행에 필요한 경전 목록과 경전 내용까지 수록한 계시문헌이다. 요컨대, 내전은 진인이 되는 과정과 수행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수행의 매뉴얼로서 기능하며 그 자체가 신성한 경전으로 여겨졌다. 한편 내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수행 패턴으로서는, 주인공들이 선도 수행을 위해 중구그이 명산동천(名山洞天)을 주유(周遊)하는 테마를 들 수 있다. 이른바 성산 순례라 부를 수 있을 명산주유라는 테마를 통해, 내전은 고대 중국의 성산인 오악(五嶽)을 비롯하여 장강(長江) 유역의 명산들에 이르기까지 동천과 신산(神山)들이 만들어내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보여주고 있으며, 나아가 천상과 지상에 있는 신선들의 궁전에 대해서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각각의 내전에 기술된 이와 같은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내전을 비롯한 상청 문헌이 그리고 있는 세계관을 재구할 수 있다. 특히 내전을 모태로 한 상청경전이 육조말 이후 당대 도교의 궁극적 경전군으로 자리매김되었다는 점에서, 내전이 보여주고 있는 성스러운 세계상은 그 이후의 도교적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청경의 모태가 된 내전 가운데 다섯 종을 분석함으로써, 내전이 시사하고 있는 도교 수행의 과정이 어떠한 것인지 살펴보고, 내전을 통해 그려지고 있는 도교의 세계 구조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내전 성립 당시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논의를 통해 내전에 제시된 수행 과정과 세계관이 중국 종교사 안에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논해 보고자 한다.
Neizhuan 內傳, Inner Biography is a particular genre of hagiography of immortals (眞人, the Perfected) in medieval China. The formation of Inner Biographies are closely linked with the revelation of Maoshan 茅山 in a late 4th century, which was the matrix of Shangqing (上淸, The Highest Clarity) corpus of daoist scriptures. Inner Biography is not merely a record of the life of its protagonist. As the word nei 内 signifies secret or esoteric knowledges, it is a secret instruction to reveal the whole process of becoming a Perfected (Being) of the celestial realm of Highest Clarity, with the guide of religious practices and the essential list of canonical scriptures for transcendence. In short, Inner Biography has a feature of detailed manual for daoist practice, at the same time, it is venerated as a sacred text as itself. It is a notable pattern of Inner Biographies that its protagonist must make pilgrimages to the sacred mountains. Through this theme of journey to sacred places, Inner Biographies show the grandiose network of classical Five Sacred Mountains and other numinous places all over the China, specially in the southern region of Yangzi river, intermingled with Grotto Heavens (洞天, Dongtian) and both celestial and terrestrial palaces of Immortals. By incorporating such descriptions of each inner biography, the structure of sacred world in Shangqing daoism can be reconstituted. This worldview is critical to understand medieval Daoism. considering Shangqing corpus has been placed on the top of the Taoist Canon since 5th to 12th century.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study of five Inner Biographies, those are the maternal text of Shangqing canonical scriptures, focused on the process of practice as well as the sacred geography. In discussion about social situation of the 4th century, the significance of the religious topology and the process of daoist practice in Inner biographies will be evaluated in the history of Chinese religions.
ISSN
1976-7900
Language
Japanese
URI
https://hdl.handle.net/10371/953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