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재일코리안의 직업적 지위의 동태: 인구 센서스 데이터로 보는 1980~2010년의 변화 : 30 years Trend in Occupational Status of Zainichi-Koreans: A nalyzing Data of Population Census, 1980-2010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히구치 나오토

Issue Date
2016
Publisher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Citation
일본비평, Vol.14, pp. 82-105
Keywords
Zainichi Koreanssocial class (strata)employment discrimination재일코리안계층취직 차별
Abstract
재일코리안은 취직 차별 때문에 자영업을 할 수밖에 없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1980년대 이후에는 취직 차별이 완화되었다고도 한다. 그렇다면 재일코리안의 직업은 어떻게 변화해왔을까. 인구 센서스 위탁조사 집계를 사용하여 지난 30년간의 변화를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여기서 변화의 방향으로 (1) 에스닉 엔클레이브화, (2) 경제적 동화, (3) 분극화라는 세 가지 유형을 설정하고 각각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1) 자영업 이탈이 진행되는 한편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에스닉 비즈니스(ethnic businesses)가 유지되며 젊은층도 참여한다는 점에서 에스닉 엔클레이브화는 지속되고 있다. (2) 1966년 이후 출생자의 대부분은 화이트칼라로 진출하여 일본인과의 차이가 적어지고 세대 교체에 의해 경제적 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3) 1946~65년생은 자영업 폐업과 실업자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실업자 비율이 높은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분극화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젊은층에서도 실업률에 격차가 있다는 문제는 남아 있지만, 전체적으로 (1)과 (2)의 효과에 의해 재일코리안과 일본인의 직업상 격차는 해소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Zainichi-Koreans are known to be limited in the labor market because of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Yet, the discrimination has been mitigated since the 1980s. Then, how has the occupational structure (or status) of Zainichi Koreans changed?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occupation structure of the past 30 years, using the census data from 1980 to 2010. The three types of changes—(1) ethnic enclave, (2) economic assimilation, (3) intra-ethnic polarization—are set as hypothesis and test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Ethnic enclave is maintained in a sense that ethnic businesses (enterprises) over a certain size continue to survive with the participation of younger generations while self-employed businesses decline. (2) Economic assimilation has developed as most of post-1966 generations are employed as white-collar workers in Japanese firms and the occupational gap between Zainichi-Koreans and Japanese decreases. (3) Those who are born between 1946 and 1965 have experienced downward mobility due to the closure of self-employed businesses and the increase in unemployment rate. Yet, except the high unemployment rate that still continues, the overall trend shows that the intra-ethnic polarization has not occurred. For younger generations, it is still true that unemployment rate remains higher, but the overall effect of the ethnic enclave and the economic assimilation has narrowed down the occupational gap between Zainichi-Koreans and Japanese.
ISSN
2092-68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6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