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미국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변화 : Change in Koreans Attitudes toward the United Stat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송

Issue Date
2015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Citation
국제지역연구, Vol.24 No.2, pp. 91-128
Keywords
Anti-American sentimentanti-AmericanismUnited StatesKorea- US relationship반미반미주의미국한미관계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고 정치적으로 성숙하고 미국에 대한 경험과 지식의 폭이 넓어지면서 한국인의 미국에 대한 태도를 친미반미로 접근하는 기존의 인식틀이 적합성이 떨어짐을 지적한다. 한국인은 이제 미국을 대등한 관계로 인지하고자 하고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미국을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인의 변화된 시각을 파악하는 대안으로 사회심리학의 대인관계 연구로부터 차용한 다차원적인 인식틀을 제시한다. 대안적인 인식틀은 다음의 네 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첫째는 감정적인 측면이다. 미국을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를 지칭한다. 둘째는 신뢰의 측면이다. 미국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지 여부이다. 셋째는 필요성의 측면이다. 한국에게 미국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이다. 넷째는 경험과 인지의 측면이다. 미국을 직간접적으로 얼마나 경험하였으며 미국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를 지칭한다. 다섯째는 평가의 측면이다. 미국을 얼마나 높이 평가하는 지이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측면은 서로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다차원적 인식틀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미국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결과 한국인은 미국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데 가장 높은 점수를 주었다. 반면 미국에 대한 신뢰는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미국에 대해 호의를 가지고 있으나 그 정도는 크지 않다. 미국을 높이 평가한다고 하여 반드시 신뢰를 더 두지는 않는다. 한편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미국에 대하여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 대한 선호와 미국에 대한 신뢰는 독립적인 개념으로 보인다. 세 개의 코호트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근래로 오면서 미국에 대한 선호도, 신뢰, 평가에서 긍정적인 태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I demonstrate that the traditional frame of pro- versus anti-American approach is not appropriate for figuring out Korean's way of thinking towards the US. When Korea's economy has reached some level of affluence, her politics has been matured with democratization, and many Koreans have better knowledge of the US and Americans, Korean's way of thinking toward the US has changed accordingly. Nowadays Koreans tend to approach the US and Americans on equal terms and take more objective attitudes without much emotional involvement. I propose an alternative frame to capture such Korean's attitude. The alternative frame is multi-dimensional,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ive aspects; emotional, trust, importance, experience & knowledge, and evaluation. These five aspects are somewhat related to each other, but conceptually have separate domains of reference in Koreans' mind. By using a survey dataset I measured Korean's attitude toward the US and Americans by applying the multidimensional frame. The analysis turns out that Koreans give the highest score to the aspect of importance. In contrast Koreans do not trust the US much. Koreans on average hav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US, but the extent of likeness Is minimal. It is surprising that the more experience they have about the US and Americans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whether they like or trust the US. When the three cohorts of Koreans are compared on the five dimensions of attitude toward the US, they display lower degree of affirmative attitude on favor, trust, and evaluation among younger generation than the older one.
ISSN
1226-731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63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국제대학원)Dept. of International Studies (국제학과)국제지역연구 국제지역연구 vol.24 no.1/4 (2015)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