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Lifting Up the Sound:" Ujo Seongeum and Performance Practice in Pansori Tradition : "소리를 들어올려라!": 판소리 연주실제의 우조성음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Ha, Ju-Yong

Issue Date
2015-12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38, pp. 199-240
Keywords
현장조사판소리성음음색연주실제우조계면조통성시김새붙임새발성법선율구조장단
Abstract
While researching and studying pansori for the past ten years, one of the most common words I heard with regard to pansoris aesthetic standard was seongeum. One migth say, ya! gye seongeumi giga makhyeo, meaning, hey, that persons seongeum is incredible!, or, ayi jeogeon seongeumi aniya!, nah, thats not seongeum, meaning the person is not properly conveying seongeum. Audience members, musicians and scholars alike all refer to seongeum but what constitutes seongeum is not explicit and quite often elusive. Any serious discussion of seongeum focuses on what is heard in performance, and singers interpret seongeum through the sound itself. Thus, soengeum is the quality and timbre of sound that is heard and understood as the ideal musical aesthetic, the totality of a performance that includes all the subtle aspects of performance practice. The article focuses on the performance practice of ujo in pansori and considers how pansori singers create the ideal ujo sound or seongeum, lifting up the sound, reflective of ujos grand and majestic character. This analysis is based on my fieldwork with several pansori singers who can immediately assess if and appropriate seongeum is being used as the music itself is being performed. They base their assessment on the delicate balance of three parameters: 1) vocal timbre, vocal production, and technique; 2) articulation, vocal phrasing and ornamentation(sigimsae); and (3) text setting (buchimsae) and phrase structure. When all parameters are in balance, the essential character of ujo seongeum, lifting up the sound, is revealed in the music.
필자는 지난 10여 년간 판소리를 연구하고 학습하면서, 판소리 창자들이 성음이란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저건 성음이 아니다 혹은 성음이 기가 막혀! 등의 표현이었다. 이것은 가창자에 대한 미학적, 음악적 취향과 기호를 판단하는 발언으로, 판소리 연행의 외부자로서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었다. 한국 전통 성악장르의 정수(精髓)라 할 수 있는 판소리에서, 성음에 대한 해석은 주로 음색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왔다. 하지만 필자가 판소리 학습에 직접 참여하여 조사 한 결과, 창자들은 성음에 대해 음색을 포함한 구체적이고 음악적인 표현들을 포괄적으로 실현하였고, 이는 음악의 개별적 제반 요소(musical parameters)에 대한 연주실제(performance practice)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계면성음과 함께 판소리 미학의 양대 산맥을 이루는 우조성음에 관한 연구이다. 박록주제 홍보가를 계승하고 있는 박송희 명창, 박봉술제 적벽가의 송순섭 명창, 만정제 춘향가의 신영희 명창을 대상으로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으며, 소리꾼 김수미와 장시간의 현장조사 및 학습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창자들은 연주실제를 통한 우조성음의 발현을 통성과 단전호흡을 통한 창법, 간결한 시김새 구사와 조음점(調音點, articulation), 붙임새의 활용과 연관된 악절구조 등, 세 가지 음악적 제반 요소를 바탕으로 논지를 전개하였다. 우조성음의 기본적 특성은 모든 음악적 제반 요소간의 섬세한 균형이 이루어 질 때 구현되며, 창자들은 소리를 들어 올려라!라는 표현으로 우조성음을 정의하였다.
ISSN
1975-021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989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