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각적 접근과 노출 모델을 통한 범죄발생장소의 시각적 특성에 대한 연구 : An Analysis of the Visaul Characteristics of Crime Locations through Application of the Visual Access and Exposure Mod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은석

Advisor
최재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범죄예방CPTED시각적 접근과 노출이론공간구문론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3. 2. 최재필.
Abstract
최근 다양한 형태의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도시건축 분야에서는 늘어나는 범죄 발생에 대해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범죄예방에 기여하고자 해왔다. 그중에서 CPTED라는 것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으로 최근 국내에서는 CPTED학회가 생길만큼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한 가지 주장으로 자연적인 감시의 기능을 높이면 범죄발생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범죄발생은 시각적인 특성과 연관이 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범죄행위가 일어나는 지점들 사이에 공통적인 어떤 시각적 특성이 있다면, 이는 범죄발생예방 차원에서 효율적인 방범에 기여하여 범죄발생건수의 감소나 예방비용의 축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범죄의 특성과 관련한 문헌 및 공간분석도구를 활용한 문헌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연구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VAE 모델이 기존의 도시건축이론에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B시 세 개의 동에서 발생한 절도범죄에 대해 시각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VAE 모델을 토대로 범죄발생지점과 그 외의 지점들을 서로 비교하였는데, VAE 모델을 도시공간에 적용하는 데에 있어 한계점을 찾게 되어, 공간구문론을 통한 새로운 실험 모델을 제안하게 되었다. 모든 실험결과 데이터는 GIS도구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PASW를 이용한 T-Test를 실시하여 결과 데이터간의 유의미성을 찾아보았다.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3개의 동 모두 범죄발생지점에서 공통적인 시각적 특성이 나타났다. 데이터의 유의미성 측면에서는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데이터들의 방향성이 일치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새롭게 제안된 VAE 모델은 이전의 모델에 비해 검증능력이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AE₁모델은 통계적 유의성이 기존 모델과 동일하였고, VAE₂모델은 S동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VAE 모델을 통해 도시건축에서 방어공간의 개념을 시각화하여 실제 범죄발생공간의 시각적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도시설계의 측면에서 그 활용가능성에 있어 한계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VAE 모델을 도시설계에 적용하는 것에 있어 그 가능성을 찾았고, 추후 연구를 통해서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0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