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rom Genocide to Development : 학살에서 발전으로: 제주 가시리 마을의 집단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혁준

Advisor
Lynn Ilon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글로벌교육협력전공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ommunity developmentcollective learning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collective memorygenocideSaemaul Undo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글로벌교육협력전공, 2013. 2. Lynn Ilon.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주민 주도형 지역사회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집단 학습의 양상과 성과, 학습이 발생하게 된 동인을 탐구한다. 연구 지역인 제주 가시리는 1948년 제주 4.3사건으로 인해 마을 전체가 전소되고 300여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20여 년 만에 자체적으로 마을을 재건하여 1970년대 국가로부터 최고 새마을 칭호를 받은 특징적인 역사를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가시리 마을의 역사적 특이성을 학습의 관점에서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개념틀로 도입하였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개인과 집단의 목표 지향적 행위를 학습의 과정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일상의 활동들을 학습의 맥락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재건 과정에서 발생했던 주민들의 상호작용과 역동들은 지속적인 활동을 창출하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시리 마을 역사의 특이성을 구성하는 또 다른 중요한 축은 제주 4.3사건 즉, 집단 학살의 기억이다. 자료 수집의 과정에서 집단학살의 경험과 마을 재건의 연관성이 중대한 탐구요소로 제기된 바, 연구자는 집단의 기억과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는 집합기억이론을 토대로 마을 재건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 문헌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은 마을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목표를 확장하며 의미를 산출해 나가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된다. 일차적으로 집단 내에서 학습활동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집단적 필요에 의해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가시리의 경우 1960년대 초 마을의 토양과 기후에 적합한 경제작물의 발견이 목표 설정의 계기가 되었다. 경제작물 발견의 주체는 4.3사건 직후 야학 설립에서부터 70년대 초 도로확장에 이르기까지 마을 재건활동의 전반을 주도했던 가시리 4.3 1.5세대였다. 이들은 4.3의 참상을 직접 목격하였으면서도, 15세 미만의 어린 나이 덕분에 생존할 수 있었던 마을 내 소수의 교육받은 인재들이었다. 이들은 마을을 재건해야 한다.는 특유의 책임감으로 재건 활동의 촉진자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농업기술원으로부터 절간 고구마(주정원료), 무말랭이 등 경제작물 가공기술을 도입, 마을 내에 소개함으로써 마을 공동체에 경제작물 대량생산을 통한 소득 증대라는 공통의 목표 형성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공통 목표 아래 가시리 마을 공동체는 집단학습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효율적인 생산과 유통을 실현하기 위한 생산 - 유통 - 육아의 분업구조를 마련하는 한편,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청년회, 부녀회, 협동조합 등의 세부 실천조직이 마련되었다. 마을 총회를 위시한 공동체 내 이러한 조직들은 여러 차례의 토론 과정을 거쳐 공동생산, 공동유통을 통해 상품 가격 변동에 대비하는 동시에 마을 전체의 소득을 증대시킨다.는 내부규칙을 정했다. 이러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마을 주민들은 소득향상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현실 개선을 가능케 하는 학습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일단 구축된 집단학습체제는 눈앞에 주어진 난관의 해결뿐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1970년대 초 이미 상당부분 소득 증대를 이루었음에도 마을 주민 전체가 상품유통 개선을 위한 산간도로 확포장을 추가적으로 결의하게 된 배경에는 학습체제 구축으로 인한 집단의 학습능력의 증대라는 요인이 작용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4.3으로 폐허가 된 땅을 일구어 집단적 학습체제를 20년 이상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학습한 결과, 가시리 공동체는 소득 증대라는 경제적 목표를 성취했을 뿐 아니라, 국가의 인정을 받아 4.3으로 인해 심각하게 손상되었던 심리적 자존감 또한 회복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가시리 마을에서 집단학습이 발생하게 되는 과정에 4.3이라는 집단학살의 기억이 하나의 계기로써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자는 증언 수집 과정에서 대다수의 주민들이 과거의 자아와 현실의 자아의 괴리에서 발생하는 4.3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유 없이 가족들이 죽임을 당해야만 했던 원통함, 그로 인한 군경과 빨치산에 대한 분노 등이 과거의 자아를 대변한다면, 이 모든 것이 자신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었다는 후회가 현실의 자아를 대변하고 있었다. 이 중 후자의 서사구조가 마을 재건의 명분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4.3의 비극이 주민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라면, 무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야말로 미래에 있을지 모르는 비극을 방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인식에 이르게 된 과정에 학살의 기억을 억압하려는 환경적 맥락과 공동체의 결속을 유지하려는 주민집단의 내부적 맥락이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분석한다.
4.3사건 발생 이후 수십년 간 계속된 군사독재정권은 가시리 주민들로 하여금 집단적 추모 행위는 물론 집단 학살과 국가 폭력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할 수 없도록 억압적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거대한 억압적 환경 속에서 생존자들은 자신들의 부모 세대처럼 철저하게 좌절당할 수만은 없었다. 그래서 이들은 4.3에 대한 자신들의 기억을 국가에 대한 원망으로부터 무지에의 자책으로 왜곡하였다. 극도의 빈곤과 폭도 마을이라는 불명예 속에서 이러한 집단 기억의 왜곡은 마을 공동체 유지를 위한 유일한 건설적인 대안이었다. 더불어 4.3사건 당시 마을 내에서 서로 갈등하고 반목했던 기억들, 경찰과 주민, 주민과 주민 간에 서로 죽고 죽여야만 했던 참담한 기억들은 마을 주민들 사이에서도 절대로 발설해선 안되는 암묵적 금기였다. 따라서 집단 기억의 왜곡은 사회적 탄압에 대응하기 위한 내부 귀인의 과정이자, 공동체의 유지를 위한 자기 검열 과정이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참상의 기억을 마을 재건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삼으려는 마을 공동체의 의도가 강력하게 반영되어 있다.
4.3에 대한 변화된 인식은 근면과 내핍, 책임감, 배움에의 열망 등의 특성을 지닌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을 가져왔고, 이는 재건을 위한 학습활동을 촉진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연구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의 형성이 학습활동을 촉진시키기까지의 과정을 모순 인식 -《인식의 공유 - 집단 기억 형성(이중화) - 집단 정체성 형성》- 활동체제 구축으로 개념화한다. 모순을 인식함에서부터 새로운 집단 기억이 등장하여 집단 정체성으로 형성되는 내부 과정은 단선적이기보다는 순환적이다. 한편 모순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모두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확산시키려는 의도에 공감하는 많은 구성원들의 인식 공유가 필요하며, 인식 공유에는 성공경험과 같은 일종의 유인 기제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시리의 경우 이전 세대와 다른 새로운 집단 기억을 가진 가시리 4.3 1.5세대가 경제작물의 도입에 성공함으로써 인식공유를 이루고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요컨대, 가시리의 경우 4.3에 대한 모순적 인식이 무지를 자책하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형성함으로써, 마을 재건 참여의 동인으로써 작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을 재건의 과정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토론을 통해 공통된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아래 규칙과 세부 조직 분업관계를 설정하여 추진하는 집단적 학습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집단학습체제의 구축으로 마을 주민들은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목표를 확장해 나가며 학습함으로써, 경제적 성취뿐 아니라 잃었던 마을 공동체의 자존 또한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함을 다시 한 번 시사하는 한편, 학습이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이라는 도구적 개념을 넘어 개발 과정 전반을 설명할 수 있는 통합적 개념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Gasi-ri village,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cess of and motivation for collective learning in community development. Although the village was burned to the ground and more than 300 people were branded as communists and massacred by the government in 1948, the village was successfully reconstructed and received The Best New Village Award in the 1970s.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al singularity of Gasi-ri village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this study introduce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ceptualizing humans object-oriented behaviors as an act of learning, CHAT enables us to capture everyday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learning. In this regard, the villagers interaction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village reconstruction is analyzed as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continues to create expansive activities. Meanwhile, the central pillar of the villages historical singularity is the memory of genocide caused by the Jeju 4.3 Incident.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cidal experience and village reconstruction has been raised as a crucial factor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the village based on the collective memory theory, which deals with memory and identity at the group level. With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researcher conduct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village reconstruction of Gasi-ri can be seen 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The first stage of group learning occurs when a group member shares a common objective from their inner necessity. In the case of Gasi-ri, the discovery of economic crops which are suitable to cultivate in the village served as a momentum of common objective sharing, and the crops were identified by the Gasi-ri 1.5th generation, who mainly led all of the rebuilding activities since the early 1950s. The 1.5th generation was a few educated people who survived the genocide by virtue of their young age and they played a central role in rebuilding the village with their distinctive responsibilities. By introducing modern economic food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those for making sliced potato and dried slice radish, they made it possible for the villagers to set the common objective of increasing income through the mass production of economic crops. Since then, the villagers began to forge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under a common objective. In order to realize effective mass production, they divide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arenting tasks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village. In addition, they established several sub-organizations such as the Youth Association, Men and Womens Association,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to systematically implement each role, while the villages general assembly decided on the ground rules of co-production and co-sale to respond to external commodity price fluctuations. Through this interaction process, the villagers not only learned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increasing income, but also established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enabled them to improve their circumstances. Once the system was established, it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new future objectives, not to mention the overcoming of immediate difficulties. In the early 1970s, for instance, the villagers determined to pave new mountainous road for improving the distribution of goods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d already achiev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erms of income and standard of living. In this determination, the groups enhanced ability to learn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learning system was heavily affected. As a result of sustained collective learning activities, the community of Gasi-ri village achieved economic prosperity. Furthermore, by being recognized by the state, they could recover their self-esteem, which was severely damaged following the 4.3 Incident.

Secondly, the genocidal memory of the Jeju 4.3 Incident heavily influenced the motivation of collective learning in the village. During the field study and in-depth interview processes, the researcher found that most of the villagers had an ambivalent attitude about the 4.3 incident.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contradiction caused by the recognition gap between the past-self and the present-self. Specifically, the villagers past-selves are represented by fear and chagrin. On the other hand, their present-selves are signified by the regretful remembrance of their ignorance. Among these, the latter is directly linked to the motivation of village reconstruction. Since the villagers recognized that their ignorance had caused the genocide in the village, they felt that being freed from the fetters of ignorance was the only way to prevent future tragedies. The researchers analysis suggests that the external (or environmental) context, which suppressed the memory of genocide, and the internal context, which endeavored to protect the unity of the community, were simultaneously affected in the process of recognition. As the decades-long military dictatorship had created an oppressive atmosphere in the village, the villagers could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e genocide and state violence. Nevertheless, the survivors could not be thoroughly frustrated
they distorted their memories of genocide by transforming them from resentment against the state to blaming themselves for being ignorant. It was the only constructive alternative to maintain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situation of extreme poverty and social disgrace. Additionally, the memory of conflict and enmity between the villagers, especially the tragedy of fratricidal experiences, has become a tacit taboo in the village. Therefore, the distortion of collective memory was not only an internally attributed response to social oppression, but also self-censoring to protect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Namely, it is found that the community tried to sublimate their tragic experience into a new driving force for the village reconstruction. The newly formed collective memory caused the formation of a new collective identity characterized by diligence and austerity, responsibility, and the desire to learn. It was a catalyst to facilitate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the process as a collective learning mechanism in the following manner: contradiction recognition, collective memory formation,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ctivity system. This process seems to be not linear but cyclical. Meanwhile, not all contradictory recognition is connected to a new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identity. For a successful collective learning progress, it is necessary for group members to share recognition of the common objective. In addition, a contributory factor such as a successful experience is helpful for the recognition-sharing process. In the case of Gasi-ri village, the 1.5th generation, who had a different identit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nd other villagers, they could share their collective memory by being encouraged by the success of economic crop mass-cultivation in the early 1960s.

Consequently, Gasi-ri village reconstruction w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which followed the procedures of setting a common objective, deciding on rules and the division of labor, and acting collectively under a common objective. In this process, the villagers contradictory perception of the Jeju 4.3 Incident worked as a fundamental motivation by forming a new collective memory which blamed the villagers ignorance to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e villagers continuously learned and extended their objective, thereby resulting in the villagers economic prosperity and psychological recover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mplies that we ne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historical factors of each community when it comes to implementing a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development studies, it offers the significant possibility for researchers to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the integrated concept of learning rather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tendency in development studies, which considers education and learning simply as an instrumental facto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process.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2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