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좇기와 찾기 사이: 대학생활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질적 연구 : Between 'Following' and 'Seeking': A Qualitative Research on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College Lif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명수민

Advisor
조용환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학생활대학교육현상학적 존재론존재론적 교육학교육적 가능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3. 8. 조용환.
Abstract
이 연구는 소위 신자유주의 혹은 경제침체의 시대로 인식되는 오늘날, 흔히 곤경과 위기에 처해 있다고 언급되는 20대 대학생들의 삶과 문화와 교육을 질적 연구와 현상학적 존재론의 관점을 통해 다시 이해해 보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나는 아홉 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만나 이들의 대학생활 이야기에 주목하면서 대화를 나누었다. 나는 대학생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현상학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이들의 존재와 존재가능에 주목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곧 대학생들의 있음(being)과 되기(becoming)의 존재론적인 역동과 생성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는 뜻이다. 연구의 초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좇기와 찾기라고 하는 이중적인 삶의 지향성을 현상학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이론화했고, 이를 연구 내러티브의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주요한 키워드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 내가 제기한 연구 문제, 즉 이끎-길은 다음 세 가지였다. 첫째, 대학생들은 어떤 좇기와 찾기 과정을 거치며 대학생활을 해왔는가? 둘째, 좇기와 찾기는 어떠한 대학생활의 이야기 주제를 통해 표현되는가? 셋째, 좇기와 찾기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이며, 이를 통해 본 대학생활의 교육적 가능성은 무엇인가? 나는 이러한 세 가지 질문이 이루고 있는 이끎-틀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생활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더 나아가 오늘날 대학교육에 던질 수 있는 함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첫째, Ⅱ장에서 나는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답하여 한지민, 정다인, 이한결, 민윤진, 유민정 다섯 연구 참여자의 대학생활 이야기를 소개하였다. 나머지 네 연구 참여자, 즉 송현진, 서주희, 박태훈, 김우진의 이야기에 비해서 좇기와 찾기로 의미화 될 수 있는 삶의 과정이 대학생활 이야기 속에 비교적 잘 드러났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은 각기 다른 리듬 속에서 다른 삶을 살아왔다. 저마다 꾸면서 좇아온 꿈이나 목표도 달랐고, 저마다 중요시한 가치도 달랐으며, 찾아 나섰던 대상이나 삶의 지향도 모두 달랐다. 나는 이들의 생애사적 과정에서 중요했던 전환점을 중심으로 대학생활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Ⅲ장에서 나는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답하여 대학생활의 이야기의 다양한 측면들을 주제화한 다음, 좇기와 찾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주제들을 연접시켜 연구 참여자들의 복잡한 되기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좇기와 관련해서는 총 다섯 가지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주제는 그냥 대학생으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마주하게 된 대학생 문화의 범상성이 얼마나 대학생들에게 특정한 모습을 좇기를 강요하는지에 대해 드러내었다. 두 번째 주제는 학점관리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하는 탓에 시간적 압력에 시달리고 강의실의 권력 관계에서 소외되면서, 효율성의 관점에서 학점관리라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 이는 공부와 학점관리를 동일시하는 경향 뿐 아니라, 자신에게 주어진 수업의 평가기준을 적극적으로 좇게 하는 기제였다. 세 번째 주제는 나이가 많아지니까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지각하고 체험하는 나이주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나이가 많아지면서 점점 다른 가능성을 찾기보다는 안정적이라고 지각되는 목표와 꿈을 좇는 경향이 있었으며, 때로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이중적 기준이기도 했다. 네 번째 주제는 성인의 시간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우울함 속에서도 사회생활이 얼마나 엄격한 위계질서 속에서 일어나는 일인지 깨달아 갔으며, 점차 자신의 존재가능을 찾기보다는 주어진 사회적 조건과 압력을 좇아 스스로를 변양할 필요가 있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다섯 번째 주제는 부채감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비용의 대학교육 탓에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시간이 지나 졸업이 다가오고 홀로서기를 시도함에 따라, 이들은 부모에 대한 부채감을 강하게 느끼며 사회경제적 보상이 많은 특정 진로를 좇아가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찾기와 관련해서도 다섯 가지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따로 또 같이라는 주제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생활의 범상성 속에서 외로움을 느끼다가 자신에게 의미 있는 관계들을 찾아 나서는 과정의 역동을 드러내었다. 두 번째는 청춘의 시간이었다. 대학생 문화에서 청춘은 자기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험하는 시기로 인식되며, 연구 참여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한 길만 가는 것을 자신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세 번째는 더 많은 경험이라는 주제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청춘의 시간에 발맞추어 주어진 시간 하에 다양한 경험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사회생활에서는 다양한 경험을 하기 힘들기 때문에, 학부 시절에 최대한 더 많은 경험을 찾아 할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네 번째는 나는 누구, 여긴 어디라는 주제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생활을 하는 내내 자신의 자리가 어디인지를 찾고 있었다. 이는 물리적이고 관찰 가능한 공간을 뜻하기도 했지만, 자기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나 모임을 뜻하기도 했고, 더 추상적으로는 사회와 세계가 자신과 맺고 있는 관계성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들에게 자리는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자의 존재이해와 깊숙이 연관되어 있었다. 다섯 번째는 세계와 만나기라는 주제다. 연구 참여자들은 결코 한 대학 캠퍼스에만 머물지 않으며, 특히 고학년이 되어서는 범학교 활동이라고 분류되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세계는 여러 여건이 허락하는 한 삶의 다양한 가능성의 원천으로 인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어학연수나 교환학생 등 다양한 해외경험을 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도 하였다.
셋째, Ⅳ장에서 나는 앞에서 다룬 대학생활 이야기와 여러 이야기의 주제들이 내포하는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을 교육인류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교육인류학이란 삶의 형식으로서 문화와 교육을 중심으로, 특히 메타적인 삶의 형식으로서 교육의 관점에 주목하여 더 나은 삶과 문화와 교육을 모색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먼저 좇기와 찾기라는 이중적 지향성이 교육인류학적으로 어떠한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좇기 압력 속에서 살아가면서도, 일종의 경계적 존재로서 다양한 문화 사이에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찾으면서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대학생활이 처해 있는 오늘날 한국의 거시적인 상황에 대한 해석을 통해, 오늘날 대학생들이 불안 속에서 좇기의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대학도 마찬가지로 닦달(Gestell)을 당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나는 이러한 해석에서 더 나아가, 오늘날 대학교육이 어떠한 지향을 가지면 바람직할지 살펴보았다. 나의 잠정적 결론은 오늘날 대학은 더욱 존재론적 대학교육의 가능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었다. 세계-내-존재이자 세계-로의-존재로서 대학생들의 삶과 실존, 목소리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뿐 아니라, 대학 스스로도 더욱 존재론적인 관점 속에서 재구성 될 필요가 있다고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대학생과 대학의 존재와 존재가능이 교육적으로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의 대학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를 위해 새로운 대학교육의 가능성의 지평을 드러낼 수 있는 교육학적 상상력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논의하였다.
In these days, South Korean undergraduates' have been said to be "at risk" or "in trouble" in the era of so-called "neo-liberal" and "descending" society, so their life potentials have largely been ignored.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ontemporary South Korean undergraduates' life, culture, and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ontology elaborated by Heidegger, Merleau-Ponty, Deleuze, and so on.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interviews about college life with nine participants several times for each. During the interviews, I tried to pay attention to undergraduates' 'being(Sein)' and 'being-possible(Seinkönnen)', namely, 'existence', not just their 'problems' they have been struggling to. In other words, I tried to focus on undergraduates' 'being' and 'becoming(devenir)' to understand their ontological dynamics. To remain focused, I theorized a dual intentionality―named 'following(jotkki)' and 'seeking(chatkki)'―influenced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ontology, and used this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and interpret participants' multiple college life stories.
This paper has three questions: (1) How have undergraduates lived in their respective colleges? (2) How are 'following' and 'seeking' expressed in the themes of college life stories? (3) What are educational meanings of 'following' and 'seeking', and how can we make sense of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college life? With these questions, I have trie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dynamics of college life, and, in the end,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college educatio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ntroduces college life stories of five undergraduate participants―Ji-min, Da-in, Han-gyeol, Yoon-jin, and Min-jeong. These fiv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own college life stories which could be signified in the framework of 'following' and 'seeking' much more multifarious and relevant than other four participants. It is their differences and multiplicities that matter in the first part. They have, naturally, lived their lives in different rhythms and ways. They sometimes have followed diverse life goals, and sought multiple life dreams or values from time to time. They have learnt many things from various relationships and fields. They also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transformations over time. I organized and reconstructed their college life stories based on turning points or significant events of their college live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thematizes(Thematisierung) and examines college life stories based on the framework of dual intentionality―'following' and 'seeking.' To begin with, I figure out five themes of college life stories about 'following.' The first theme is "mere undergraduate", which expresses the normativity of undergraduates' culture that forces participants to remain 'ordinary' and follow specific, sometimes tacit, cultural rules or norms. The second one is "managing the grades." In general, participants have been pressed for the compressed time doing many activities and alienated in the classroom because of some cultural norms and power relations. For many undergraduates, classes in university are generally considered 'useless' or 'meaningless' in these days. Considering these, participants tend to adopt an efficient tactic, so-called "managing the grades." It has made them not only follow criteria of evaluation in classes and become passive, but also identify their own "learning" with calculable "grades." The third one is "getting old", related with a culture of 'ageism.' As they get old, they prefer to follow "stable" jobs or life goals rather than to seek their own possibilities or the not-yet-actualized. Bu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etting old" is fair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Fourthly, participants tend to worry about the time of "adult." They have embraced the harsh "reality" of "social life" and "work life", recognized as a stern hierarchic system compared to college life. The job market in South Korea has experienced so-called "neo-liberal" adjustments recently, the job stability and the employment rate have been decreased simultaneously. So they have sometimes felt urgent necessities to modify their life attitudes in relatively obedient and submissive ways. The last one is the feeling of "indebtedness." Participants usually have no option but to depend on their parents―either entirely or partly―in regards of tuition fee and living expenses, because the cost of college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by and large in recent decades. As they try to 'stand-alone' and the graduation becomes imminent, some of them cannot but choose to follow limited careers which guarantee higher and/or more "stable" financial rewards so as to get rid of the feeling of "indebtedness" in part, not to actualize or seek their own possibilities or potentials.
There are five themes of college life stories about 'seeking' as well. The first theme is 'between being separately and together.' The culture of "mere undergraduate" affects participants' sociocultural emotion "loneliness", because it is not meaningful to them on the whole. Thus, they seek incessantly to find new and meaningful relationship network in and out of familiar and established relationships, and try not to settle into a certain comfort relationship network. The second one is the time of "youth(or being young, Cheong-choon)." They consider their stage of life course (in their early- and mid-twenties) is the crucial period for exploring and experimenting their lif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Many of them tend not to pursue a single life path or one-way life, because it is sometimes considered as a foreclosure of their life potentials. The third theme is "more experiences" or "diverse experiences." They consider an "experience" as a great opportunity to broaden their life horizon and potentials. Intertwined with the time of "youth", many of them think that the period of college life might be the only and significant time for "diverse experiences", in contrast to so-called "social life" or "work life." The fourth theme is "who am I, where am I(naneun-nugu, yeogin-eodi)." The expression is used as a black humor in participants everyday life, but it sometimes reveal their ardent wishes for finding their own "place(ja-ri)" in the world. The meaning of "place" is plural and multiple. It refers to not only physical and observable places which they consider as valuable or precious, but also human relationship or social positions that they have been in or intend to be in. Their "places" are constructed inter-subjectively, and intertwined deeply and complicatedly with their own 'understand-of-being(Seinsverständnis).' The fifth and last theme is 'encountering the "world(Se-gye)".' The participants tend never to stay in the boundary of single college campus. They have taken part in "pan-college activities(Beom-hakkyo-hwaldong)" or many student exchange programs in their respective college. For many of them, if they are supported emotionally, financially, and institutionally enough, the "world" is acknowledged as a fountainhead of life possibilities or potentials.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by interpreting college life stories and their major themes related to 'following' and 'seeking', I manage to illuminate educational possibilities and meanings of contemporary college life in South Korea. In general, participants have lived under pressure of 'following.' They have lived in the shade of "anxiety", which is partly influenced from macro-level situations. As a 'being-in-the-world'(Heidegger) and 'conditioned being'(Arendt), they cannot help living in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and contexts. However, they have lived between 'following' and 'seeking', which are inseparable and entangled from each other. As a 'being-toward-the-world'(Merleau-Ponty) and 'conditioning being'(Arendt), they have strived not to be caught entirely by their life conditions and contexts. Instead, they have tried to broaden and explore their life possibilities or potentials in college life. They have lived not in a single culture but between diverse cultures, so they are in part 'in-between' and 'liminal' beings. In this part, these lif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are re-interpreted as 'educational', because they could be the fountainheads of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learning, growth, and transformation. Based on these interpretations and taking one step forward, I try to examin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nd college education. Recently, some scholars and researchers have problematized the identity and purpose of college education, which has undergone serious chang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zation. They point out that the major features of contemporary college education have become, roughly speaking, more and more 'instrumentalized, vocationalized, and corporatized', or, to put Heidegger's term, 'enframed' in recent decades. In this trend, the 'ontological voices'―which express their being, becoming, and being-possible―of contemporary undergraduates and/or their colleges would be at risk for being silenced and foreclosed easily. I suggest that college educ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and re-constructed in the perspective of 'ontological education.' Research on ontological education is still in its exploratory and emergent stage,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nsider and re-examine foundations of college education in the world of change. 'The ontological turn' of college education would request challenging and demanding educational imaginations, but make it possible to discover new and critical educational horizon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9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