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 및 농촌 지역 초등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학생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n Multicultural Students : Focusing on Science Learning and STEM Career Choices
과학 학습과 STEM 관련 직업 선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두성

Advisor
Sonya N. Martin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지구과학전공),2020. 2. Sonya N. Martin.
Abstract
The recent population diversification in Korean society appears in the form of an aging society, a low birthrate, and an increase in immigrants. With these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has increased rapidly from 0.7 percent in 2012 to 2.2 percent in 2018. There are more multicultural students in pre-school and early elementary grades, and the difficulties that multicultural students face in school and society have been continuously discussed.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all the difficulties that multicultural students face are identical.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Korea, the population and economic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has expanded. This development also caused social and cultural gaps that have resulted in differences in how multicultural students experience social life and school in these two areas. Likewise, statistical differences related to diversity and population change also exis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nationality or social class of parents are quite different. Compared to urban areas,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higher in rural areas and there is a higher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t a younger age living in rural areas than urban areas.
School administrators play a key role in shaping school culture. Therefore, th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has a great impact on shaping the school culture, providing supportive leadership, and decision-making about policies that impact on multicultural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administrato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nd rural areas about multicultural students regarding these students science learning and achievement and their future STEM career choices. We tried to explore and identify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administrators in these two different areas.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are "1) What are the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1-1)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2) What are the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scientific learning and STEM job choic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2-1)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and STEM job choic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recognized that multicultural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overall school life. However, even though administrators were aware of their difficulties, administrators felt the need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was a relatively low priority compared to the needs of other students. Second, in urban areas, a phenomenon called passing was identified by which multicultural students hide their background and identities in an effort to pass as a native Korean student. This phenomenon could distort administrators perceptions about the multicultural student experience in schools as administrators may not be aware of the actual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enrolled in the school. In addition, by hiding their multicultural background, these students are prevented from fully forming their identity as someone with both Korean and non-Korean heritage, culture, and language. In rural areas, administrators were aware that there might be difficulties to improve language and learning skills for students who immigrated to Korea in the middle of their K-12 education. In addition, they acknowledged that the age gap between parents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is often quite large which can result in social challenges for families. Third,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recognized that multicultural students would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science due to a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which could limit students access to basic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Fourth, while administrators in urban areas had low expectations about the choice of STEM jobs for multicultural students, administrators in rural areas also believed there would be no significant problem for these students if they could solve the difficulties of language so they could build scientific knowledge early in school. In general administrators in rural areas had more informed opinions about multicultural students, their families, and challenges facing non-Koreans in society than did administrators in urban areas who indicated they had fewer experiences dealing with multicultural children or their families.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different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ir science learning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STEM career choices based on their interaction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dministrator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regional and geographical factors in school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olicymaking and the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for researchers to consider the impact of intersecting points of oppress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en conducting research in the future. Not all multicultural students have the same backgrounds and learning needs. This study found there is a need to study more about passing by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Developing science class programs combin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xp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for school administrators are also suggested.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improv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n Korea in the future as this growing population of students will continue to move through the education system. It is important to support all students to be able to learn science and pursue careers in science. This research also offers some perspective for researchers examining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in other Asian countries that are also undergoing population diversification as a result of globalization and rapid industrialization.
최근 한국 사회의 인구 다변화는 고령화와 저출산 그리고 지속적인 이민자 증가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인구 구성 변화와 더불어 다문화 학생의 비율은 빠르게 증가하여 2012년 0.7%에서 2018년 2.2%로 빠르게 상승하였고, 학년이 낮을수록 다문화가정 학생의 비율은 더욱 높게 나타난다. 다문화 학생이 학교 및 사회생활에서 겪는 일반적인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경제 성장과정에서 도농 간 인구, 경제적 격차는 사회문화적 격차 또한 야기하였으며 이는 두 지역 사이에 나타는 다문화 학생들의 특성 및 학교생활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도시 및 농촌 지역 사이에는 다문화 학생의 비율 및 다문화 배경 국가 등의 특성에서 통계적 차이가 존재한다. 도시 지역에 비해서는 농촌 지역에서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높으며, 도시 지역에는 동북아시아 배경의 다문화 학생이, 농촌 지역에서는 동남아시아 배경의 다문화 학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교 관리자를 통하여 다문화 학생의 상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교 관리자는 학교 문화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학생에 대한 인식은 학교의 문화와 리더십을 형성하고 정책을 결정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도시 및 농촌 지역 초등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학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 학생의 과학 학습 및 STEM 직업 선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두 지역 간 공통점 및 차이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1. 다문화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관리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초등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학생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다문화 학생의 과학 학습 및 STEM 직업 선택에 대한 초등학교 관리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초등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학생의 과학 학습 및 STEM 직업 선택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초등학교 관리자들은 다문화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전반적인 어려움을 겪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어려움에 대한 인식에 비하여 다문화 학생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고 하였다. 둘째, 도시 지역에서는 다문화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는 현상인 패싱이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현상으로 인하여 관리자를 포함한 학교 구성원들은 다문화 학생에 대한 인식내용이 왜곡될 수 있으며, 다문화 학생의 경우 자신의 정체성을 온전히 형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농촌 지역의 경우, 관리자들은 특정 다문화 학생(중도입국 학생, 부모의 나이차가 큰 국제결혼가정 학생 등)들이 언어 및 학습 능력 향상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관리자들은 다문화 학생들이 과학 학습에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가질 것이라고 하였는데, 한국어 능력 및 기초적인 과학 지식 그리고 경험의 부족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넷째, 도시 지역의 관리자의 경우 다문화 학생의 STEM 직업 선택에 대하여 낮은 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반해 농촌 지역의 관리자는 과학 학습 초기에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면,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관리자들의 인식에 다문화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및 교육경험, 학교의 지역 및 지리적 요인에 의한 다문화 학생의 특성 등이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요인은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인식 및 과학 학습, STEM 직업 선택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 교육 연구 및 정책 수립에서 상호교차성의 반영이 필요하다. 각각의 다문화 학생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언어 능력, 외모, 다문화 배경 국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상호교차성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다문화학생의 범주 및 지역별로 맞춤형 교육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외에도 연구에서는 제언으로 국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패싱 현상 연구의 필요성, 한국어 교육과 결합된 과학 수업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 연수 확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차후 한국 내의 중등 및 고등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의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나아가 한국과 같이 산업화 및 세계화에 따른 급격한 인구 구성 다변화를 겪는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이뤄지는 다문화 과학 교육 연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9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