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포이어바흐의 감성론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은

Advisor
박정훈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감성사랑공동체실천도야유적 존재해방SensibilityLoveCommunityPracticeBildungSpecies-beingLiber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0. 8. 박정훈.
Abstract
본 연구는 포이어바흐의 새로운 철학이 제기하는 이성 비판과 감성이 가진 실천적 성격을 규명한다. 본 연구가 포이어바흐의 감성론에서 특히 주목하고 있는 것은 감성의 실천적 성격이 근본적으로 사랑(Liebe)의 감정에서 나온다는 점이다. 사랑을 통한 감성 이해는 수동적인 사유 능력으로 파악되던 감성을 실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환한다. 사랑은 실천능력으로서 감성을 추동하고 도야함으로써 인간의 상호 결속을 통한 공동체 실현의 원리로 기능한다. 감성의 도야는 이성 중심적 인간 이해로 인해 발생한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자연을 도구화하는 왜곡된 사유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킨다.
포이어바흐 감성론의 실천적 성격은 후대 철학자인 마르크스의 비판에 의해 단지 관조적 유물론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 바 있다. 본고는 포이어바흐의 사유가 순전한 관조가 아닌 해방을 향한 실천을 목표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포이어바흐 감성론의 실천적 성격은 사변철학과 기계론적 유물론에 대항해 제시하는 새로운 철학의 기획에서 드러난다. 몸의 감각과 신체성에 주목하는 새로운 철학은 전통 사변철학에서 정신에 부여한 가치를 전도하는 내용과 인간의 소외된 본질로부터 전체적이고, 현실적인 인간의 실현을 담고 있다. 감관을 통해 외부 대상에 대한 이해가 촉발되지만 감성이 도야함으로써 감각이 지닌 특수성의 한계와 욕구가 가진 구속성으로부터 벗어난다. 즉 감성의 도야는 사유나 감각의 내용이 주관 안에 머물지 않고 이를 감각화, 감성화하는 것이다. 도야를 통해 비로소 사유가 표상, 관념 등과 같은 의식 내면의 지층이 아닌 감각의 지층에서 그 진정한 의미로 파악될 수 있다. 감성의 도야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도야 뿐 아니라 세계의 변화와 그 결과물로서 인간 해방에 도달한다.
인간의 해방은 감성의 도야를 통해 주관적 표상 및 사유에만 사로잡힌 상태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게 됨으로써 소외된 인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소외된 인간으로부터 벗어나 타인, 자연과 올바른 관계를 맺는 인간의 변화는 인간이 타자를 도구화하지 않으며 타자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도야된 감성의 본질적인 측면은 의사소통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고 공동체 정신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체 안에서 획득되고, 교정되는 보편적 감각은 인간을 주관적 감각에 머물도록 하지 않고 유적 존재로 이해하도록 한다.
유적 존재로서 인간 이해는 먼저 개별적 개인을 인정한다.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타자 또한 나와 같은 너로 파악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도모한다. 포이어바흐는 나와 너(Ich und Du)를 현실의 인간들이 만나 이루어내는 관계, 즉 사랑으로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인간을 유적 존재이자 사랑을 통해 소통하는 존재로 파악하는 것은 인간을 개인적 차원에서 벗어나 무한성을 획득한 인류로의 이해로 확장된다. 포이어바흐에게 사랑은 단지 낭만적이거나 개인적인 감정이 아니라 개인이 공동체로 나아가도록 추동하는 힘이다. 사랑은 실천능력으로서 감성을 추동하고 도야함으로써 인간의 상호 결속을 통한 공동체 실현의 원리다. 포이어바흐의 감성론에서 사랑, 실천, 해방의 본질이 감성에 있다는 점을 토대로 수동적인 사유 능력으로 파악되던 감성에 대한 이해가 실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포이어바흐가 인간의 사랑과 공동체에 관심을 두었던 것은 외부 세계의 실재성에 대한 확신이 주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타자에 의해, 즉 공동체적 인간(Gemeinmensch)에 의해 가능하기 때문이다. 공동체적 인간은 사유와 몸이 통일된 전인적 인간(der ganze Mensch)이며 공동체가 이성과 문명의 이름 아래 구성원의 감성을 억압하지 않는다. 공동체 안에서 비로소 본래적 인간성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공동체는 개별 인간의 몸과 내적 자연을 인정하고 보존한다. 동시에 인간은 공동체 안에서 관계를 통해 도야된다.
감성의 실천적 성격을 드러내며 감성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포이어바흐의 감성론은 억압되었던 인간의 감각을 복권하고, 인간을 이성과 감성의 두 축을 가진 전인적 인간으로 파악한다. 포이어바흐의 감성론에서 드러나는 감성적 인간 이해를 토대로 공동체 실현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은 개별화되고, 고립된 현대 사회에 필요한 인간 이해와 공동체 이해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 시킨다. 포이어바흐의 감성론에서 주목하고 있는 나와 너, 감성의 도야, 사랑에 대한 이해는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는 타자, 생명체, 환경을 단순한 외부 대상으로 남겨두지 않는다. 감성은 유동하는 세계를 시시각각 감각하고,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인간을 타자와 끊임없이 관계하며 해방하도록 한다. 포이어바흐의 적극적이고, 실천적 능력을 가진 인간 능력으로서 감성의 이해는 감성을 하나의 독립적인 인식 능력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근대 미학의 기획을 심화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ractical characteristic of criticism of speculative philosophy and sensibility raised by Feuerbachs new philosophy. What this study particularly pays attention to in Feuerbachs theory of sensibility is that the practical characteristic of sensibility comes from love(Liebe). Understanding sensibility through love transform emotion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passive thinking abilities into those with practical values. Love acts as a principle of community realization through mutual cohesion of human beings by driving and formating sensibility as pragmatic ability. Bildung(formation) of sensibility frees humans from the distorted thoughts that objectified the humans and the nature surrounding them, caused by reason-oriented human understanding.
Marx, a later generation philosopher of Feuerbach, however, understood that Feuerbach's theory of sensibilitys practical distinctiveness was nothing more than contemplative materialism. This paper considers that Feuerbachs thinking is not purely contemplative, but aims to practice liberation. The pragmatic characteristic of Feuerbachs Theory of sensibility is revealed in the planning of the new philosophy that suggests against speculative philosophy and mechanistic materialism. New Philosophy, which focuses on the senses and physicality of the body, contains the contents of reversing the values ​​given to the mind in the traditional speculative philosophy and the realization of the whole, realistic human being from the alienated nature of human. Through perception, understanding of the external object is triggered, but the sensibility must help to escape the limitations of the specificity of the senses and the restraint of the desires. In other words, the Bildung of sensibility is to sensitize the content of thought or sensation without staying in the subject. Through Bildung, thinking can be understood as its true meaning in the place of sensation, not in the inner layers of consciousness such as representations and ideas. Through Bildung of sensibility, humans reach not only their own mature but also the change of the world and human liberation as a result.
Humans liberation is to escape from the alienated human being by returning to themselves, instead of being obsessed with subjective representations and thoughts through emotional sensation. The possibility of getting out of a marginalized human being and having a righ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nature opens up the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without objectification of the other. The essential aspect of Bildung of sensibility means forming a community and having a community spirit through communication. The universal sense which is community share that is acquired and corrected in the community does not force humans to remain subjective but to understand them as species-being(gattungswesen).
As species-being, human understanding first acknowledge individual as individuals. This kind of human understanding further pursues a real understanding of others by identifying the others as her or him. Feuerbach starts with understanding I and you(Ich und Du) as a relationship that humans meet and achieve, that is, love. Understanding human beings as species-being and communicating through love extends to understanding human beings from a personal level to an understanding of humanity that has gained infinity. For Feuerbach, love is rather than a romantic or personal feeling, it is a force that drives an individual into the community. Love is the principle of realizing a community through human solidarity by driving and cultivating sensibility as an ability to practice. In Feuerbachs theory of sensibility which was identified as passive thinking ability, can be seen as having practical value based on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love, practice, and liberation is in sensibility.
Feuerbachs concern for humans love and community is that confidence in the reality of the outside world is possible not by subjectivity, but by others, that is, by communal human(Gemeinmensch). The communal human being is the whole human being(der ganze Mensch), in which thought and body are unified, and the community does not suppress the sensibility of members under the name of reason and civilization. Only in the community is the original humanity realized concretely. The community recognizes and preserves the individual human body and inner nature. At the same time, humans have to help through relationships within the community.
In conclusion, Feuerbachs theory of sensibility, which reveals the practical nature of sensibility and expands the perception of sensibility, reinstates the suppressed human senses and identifies humans as a whole human being with two axes of reason and sensibilit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realization based on the emotional human understandings revealed in Feuerbachs theory of sensibility confirms the importance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mmunity understanding in an individualized and isolated modern society. The understanding of I and you, Bildung of sensibility, and Love, which we pay attention to in Feuerbachs theory of sensibility, do not leave others, creatures, and environments sharing the same time and space as simple external objects. Sensibility senses the ever-changing world momentarily, and actively responds to it, thereby releasing human beings concerning others constantly. Feuerbachs understanding of sensibility as a human ability with active and practical abilities deepens and understands the planning of modern aesthetics to grasp sensibility as an independent cognitive abili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8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7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