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객의 인식에 기반한 항공기 운항지연 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ircraft Flight Delay Criteria Based on Passenger Perception
인천국제공항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온동훈

Advisor
최태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운항지연기준지연통계기준인식운항지연사유인천국제공항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최태현.
Abstract
항공교통은 항공기 자체의 안전성은 물론 운항, 정비, 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룩하였으나 항공수요가 급증하면서 운항정시성은 기존보다 악화되고 있다. 시간의 가치가 매우 중요한 여객은 항공기 운항지연으로 인하여 항공종사자에게 많은 불만을 표출한다. 증가하는 운항지연에 대한 효율적 관리의 필요성이 매우 시급한 당면과제로 나타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운항지연에 대한 기준이 항공교통의 소비자인 여객이 생각하는 인식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가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는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여객들을 대상으로 운항지연 기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에서 정의하고 있는 항공기 운항지연의 기준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여객들이 인식하는 방향으로 운항지연 기준 개선에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여객을 둘로 나누어 항공종사자와 일반여객간의 운항지연에 대한 인식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의 운항지연 통계기준에 의거 최근 3년간 인천공항의 운항통계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월별, 항공사별, 노선별, 지연원인별 등의 운항지연 현황을 조사하였다. 운항지연에 대한 여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최근 3년간 인천공항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여객에 한정하여 설문을 시행하였고 총 178명이 응답하였다. 이 중 항공종사자는 88명, 일반여객은 90명이었다. 기술통계량 분석, 교차분석, 이항비율의 신뢰구간 추정, 독립표본 t-test 등을 통한 통계분석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운항지연에 대한 기준은 여객이 인식하는 것과 괴리가 상당하다. 현재의 운항지연편 선정 기준은 정기여객기 중 이착륙시간을 기준으로 예정시간 대비 국내선은 30분 초과로 규정하고 있으나 여객들은 출발/도착 시점 모두 활주로 이착륙 시점이 아닌 게이트 출발/도착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여객은 예정시간 대비 15분 초과 시 지연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의 기준인 국내선 30분, 국제선 60분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운항지연 기준에 대한 항공종사자와 일반여객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항공종사자도 항공기를 이용할 경우 일반여객과 다를 바 없는 절차로 공항과 항공기를 이용한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항공종사자가 일반여객보다는 지연편 선정시간 기준에 대해서는 좀 더 버퍼를 두고 있다. 항공종사자는 예정시간 대비 평균 약 30분 초과를 지연 편으로 선정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일반여객은 평균 24분 이었다. 항공운송의 공급자에 속하는 항공종사자는 정시성을 위해 노력을 하지만 정시성보다 항공기 운항 안전성을 더 중요시 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항공이용 경험의 특성이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연기준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다. 공항이용횟수, 상위클래스(비즈니스석/일등석) 탑승 이용 횟수, 과거의 운항지연 경험 등의 특성과 운항지연 기준 인식과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없다.
넷째, 운항 지연사유에 대한 여객의 인식과 공식 통계결과와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고 항공종사자와 일반여객간의 인식에도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여객들은 기상요인을 실제보다 더 높게 지연의 주된 이유로 인식을 하고 있다. 실제 지연통계 결과 기상요인은 전체 지연 중 2.1% 에 불과하나 30% 가 넘는 여객이 기상요인을 가장 큰 지연사유로 생각하고 있다.
다섯째, 여객이 경험한 운항지연과 실제 지연 통계결과와는 운항형태별로 차이가 있는 항목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항공사 형태(대형항공사, 저비용항공사), 항공노선(국내노선, 국제노선), 운항형태(출발, 도착) 항목은 실제 지연 통계결과와 차이가 있다.
통계의 기준을 만들거나 개정할 경우에는 이해 당사자, 즉 국민, 기업, 정부 등의 태도, 인식 등에 대한 연구조사가 필요하고 생산자 중심보다는 소비자나 수요자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항공기 운항지연에 관한 기준도 실제로 공항과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객의 생각과 인식에 부합하는 기준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현재 우리나라의 운항지연에 대한 기준은 여객이 인식하는 것과는 괴리가 상당하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항공수요 증가에 따른 항공기 운항지연도 증가함에 따라 여객들이 느끼는 운항지연에 대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운항지연 통계기준 재정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표본선정에 있어서 인천공항만이 아닌 전국공항으로 대상자를 넓히는 등 표본의 대표성과 다양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운항지연 기준이 변경되고 실제 운영을 위한 선행요건에 대한 연구도 병행이 되어야 실제로 운영시 혼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Air traffic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not only in the safety of the aircraft itself, but also in all fields such as flight operation, maintenance, and technology. However,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flight demand, flight punctuality is worse than before. Passengers, whose time value is very important, express a lot of dissatisfaction with aviation workers due to delays in flight operations. The ne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increasing flight delays has been shown as a very urgent issue, but studies on this are insufficient, and moreover, the criteria for flight delays a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whether it correctly reflects the perception of passeng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flight delay criteria for passengers using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o find out the difference from the criteria for flight delays defined in Korea. The aim is to provide direction to improve the criteria of flight delay in the direction perceived by passengers. And also tried to divide the passengers into two group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flight delays between aviation workers and ordinary passengers.
Based on the statistical criteria of Korea's flight delay, the current status of flight delays, such as monthly, airline, route, and causes of delay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data of the flight statistics at Incheon Airport. In order to find out the passengers' perceptions of flight delays, a survey was conducted limited to passengers who have use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the past three years, and a total of 178 respondents answered. Of these, 88 were aviation workers and 90 were ordinary passenge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 interval estimation of binomial proportion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First, Korea's criteria for delay in operation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perceived by passengers. The current selection criteria for flight delays is out of 30 minutes for domestic flights and 60 minutes for international flights, compared to the scheduled time based on the takeoff and landing time among regular passenger flights However, passengers perceive both the departure and arrival times as gate departure / arrivals, not at runway takeoff and landing. In addition, the majority of passengers are perceived as delayed when they exceed 15 minutes compared to the scheduled time,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urrent standard of 30 minutes for domestic flights and 60 minutes for international flights.
Seco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aviation workers and ordinary passengers on the basis of flight delay criteria, verification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When aviation workers also use aircraft, they use airports and aircraft in the same way as ordinary passengers. Even 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viation workers are putting a little more buffer on the delay time selection criteria than ordinary passengers. The average delay time of ordinary passengers was 24 minutes, although aviation workers recognize that they should choose flights that are delayed by an average of more than about 30 minutes compared to the scheduled time. It is considered that the aviation workers belonging to the air transportation provider make efforts for punctuality, but may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safety of flight operation than punctuality.
Third,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elay criteria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ir travel experi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cannot be assu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airport,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upper class (business class / first class) boarding, the experience of past flight delay, and the recognition of the flight delay criteria.
Fourt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ssenger perceptions and the results of official statistics in delay factors, and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aviation workers and ordinary passengers. For example, passengers perceive weather factors as higher than they actually are and as a major reason for delays. The meteorological factor in the actual delay statistics is only 2.1% of the total delay, but more than 30% of passengers consider the weather factor to be the reason for the maximum delay.
Fifth, there may be cases wher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light delays experienced by passengers and the statistical results of actual delays depending on the flight type, which was unlikely. The types of airlines (major airline, low-cost airline), air routes (domestic, international), and flight type (departure, arrival) differ from the actual delay statistical results.
When creating or revising statistical criteria,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y and research on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stakeholders, that is, the people, companies, governments, etc., and not producer but customer and consumers. The criteria for flight delay must match the ideas and perceptions of passengers who actually use airports and aircraf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urrent criteria of flight delays in Korea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passengers perceiv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for re-establishing the statistical criteria for flight delay based on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flight delays that passengers feel as the flight delay increases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flight demand. However, in selecting a sampl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by securing sufficient representativeness and diversity of the sample, such as expanding the target population to not onl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but also the national airpor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y on the preconditions necessary for operation with the modified flight delay criteria, and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fusion during operation in advan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89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4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