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특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서울시 노인을 대상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광호-
dc.contributor.author박상민-
dc.date.accessioned2020-10-13T04:11:00Z-
dc.date.available2020-10-13T04:11:0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185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9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85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정광호.-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평균수명의 증가와 출산율의 급감으로 인한 노인인구비율의 확대라는 환경 변화 속에서 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특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특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를 활용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특성을 주거점유형태, 주택형태, 거주기간, 가구원수로, 노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였고 나아가 노인층을 중장년층과 비교・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은 자가 일수록(+), 아파트 일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의 경우 위 주거환경 관련 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환경 관련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중장년층보다 노인층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노인들은 단독주택을 더 선호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실적으로 일반주택의 주거환경은 노인의 삶의 만족감을 충분히 지원해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단지로 개발되는 아파트의 주거환경 개선에 버금가는 일반주택의 노인친화형 주거환경 조성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자가를 선호하고 한 장소에서의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므로 영구임대 주택 등의 노인공급확대를 통해 여생동안 이사를 가지 않고 자가와 같은 수준의 안정적인 주거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거환경 관련 특성은 후기노인으로 갈수록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거·의료·여가 등 다양한 노인복지시설 제공 및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연계를 통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되 노인의 연령대를 구분하여 차별화된 정책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life satisfaction ami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and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a sharp drop in the birth rate. The Seoul Survey of Urban Policy Indicators was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divided into housing occupancy type, housing type, period of residence, number of households, and senior citizen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life was analyzed. Furthermore, the elderly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middle-ag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lder the elderly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 the more apartments (+), the longer the residence period (+), and the less the number of households (-).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above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 characteristics was stronger for the old-old than for the young-old. Third,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was stronger in the elderly than in the middle-aged.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re shown below. First, the elderly are known to prefer detached houses, but in realit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rdinary houses does not fully support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life.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n elderly-friendly residential environment for general housing, which is comparable to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apartments developed into large-scale complexes. The system needs to be overhauled to ensure stable housing at the same level as the owner's house for the rest of his life without moving for the rest of his life, as the longer he lives in one place,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ving in one place, such as permanent rental housing, increases the supply of senior citizens. Seco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s life have been shown to have more and more influence on the old-o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enior citizens by providing various welfare facilities for them, such as housing, medical care, and leisure, and linking social welfare services using community resources, while presenting differentiated policies by dividing the age groups of senior citize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4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6
제 1 절 노인의 주거환경에 관한 논의 6
1. 노인의 특징 및 구분 6
2. 주거선택 및 주거만족에 관한 논의 7
3. 노인의 주거환경과 주거만족에 관한 논의 14
제 2 절 노인의 주거환경과 삶의 만족에 관한 논의 18
1. 삶의 만족에 관한 논의 18
2. 노인가구의 주거환경과 행복에 관한 논의 21
제 3 절 선행연구의 종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4
1. 선행연구의 종합 24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5

제 3 장 연구모형 및 방법 26
제 1 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26
1. 연구모형 26
2. 연구가설 27
제 2 절 분석자료 및 변수의 정의 29
1. 조사대상과 분석자료 29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0

제 4 장 분석결과 및 해석 33
제 1 절 응답자의 특성과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량 33
1. 응답자의 특성과 주요 변수릐 기술통계량 33
2. 주요 변수의 응답자 유형별 측정결과 38
제 2 절 분석 결과 44
1. 상관관계 분석결과 44
2. 회귀분석 결과 45

제 5 장 연구의 함의 및 한계 62
제 1 절 연구의 의의 및 정책적 함의 62
제 2 절 연구의 한계 63

참고문헌 64
부 록 70
Abstract 7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삶의 만족도-
dc.subject서울서베이-
dc.subject주거점유형태-
dc.subject주택형태-
dc.subject전기노인-
dc.subject후기노인-
dc.subjectsatisfaction level of life-
dc.subjectSeoul Survey-
dc.subjecttenure type-
dc.subjecthousing type-
dc.subjectyoung-old-
dc.subjectold-old-
dc.subject.ddc352.266-
dc.title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특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ANG MIN-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서울시 노인을 대상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185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185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