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조선족 부모의 이중언어사용과 가정문해환경이 만 3세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The factors influencing bilingual language use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for parents of Chinese-Korean families on 3-year-old Childrens ability of expressive vocabula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Guo, Meiyan

Advisor
최나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선족 가정표현어휘력동시적 이중언어부모의 이중언어 사용가정문해환경Korean-Chinese FamilyExpressive vacabularySimultaneous bilingualsParents bilingualism usingHome literacy environmen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2021. 2. 최나야.
Abstract
China is a multi-ethnic country composed of 56 ethnic groups centered on Han Chinese and is a typical multi-cultural country. Each ethnic group has its cultural tradition and personality and has consolidated cultural diversity through different ethnic groups, languages, religions, and production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Korean-Chinese families among minority ethnic groups as a simultaneous bilingual language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to learn Korean and Chine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study in detail how the aspects of simultaneous bilingual environment encountered by young children bring about their expressive vocabula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guage use characteristics and literacy environment of parents of Korean-Chinese families on children's bilingual (Korean-Chinese) expressive vocabulary in Tumen City and Meihekou City, Jilin Province, China.
Three-years-old infants who are relatively easy to observe and measure expression words and have little impact on institutional educatio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irst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pressive vocabulary of Korean-Chinese children of simultaneous bilingual children and compared the list of words that they could express in Korean, Chinese, and bilingual. Secondly, it was analyzed whether the bilingual use of Korean-Chinese family parents and the literacy environment correlated with the bilingual (Korean-Chinese) expression vocabulary of children.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bilingual language by parents of Korean-Chinese families and fourthly, Korean-Chinese families' literacy environment influenced the bilingual (Korean-Chinese) expression vocabulary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who are bilingual simultaneously between Korea and China was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expressive vocabulary in Chinese rather in Korean. For both these two languages, the equivalent ag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actual period of the month. Compar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each test question, it was found that while infants could express more in Chinese, the possibility of speaking Korean-Chinese words was complementary.
Secondly, the more parents used Chinese at home, the lower the level of expressive vocabulary in Korea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bilingual expressive vocabulary in Chinese. Family literacy activities had a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young children's Chinese vocabulary expression.
Thirdly, Korean-Chinese parents spoke Chinese much more at home, and Korean-Chinese bilingualism spoken was relatively rare. The language use between parents is highly correlated, so there are few cases with each language used separately, and most of them used the same language. Compared with the father, the mother's bilingual use styl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fant's Korean expressive vocabulary. The infant's Korean expression vocabulary was higher in the home as the mother mainly spoke Korean than the mother mainly spoke Chinese. When both fathers and mothers mainly spoke Chinese or at least two languages ​​evenly, infants' Chinese expression vocabulary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Fourthly, when comparing the influence of home literacy activities on children's bilingual expressive vocabulary, children's Korean expressive graphic vocabulary level increased as more literacy data were provided at home. The order of literacy activity frequency, literacy data availability, and mother's literacy activity instruction influenced young children's Chinese expression vocabulary.
Research on bilingualism for parents raising their children in a bilingual environment was studied mainly in North America and Europe (Genesee et al., 2004; Hammer et al., 2014; Meisel, 2006).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are relatively insignifica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ed that parents' use of bilingual language and family literacy environmen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n expressive vocabulary of children who are already three-year-old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clearly confirms the meaning of the degree of exposure of two languages ​​through parents in a simultaneous bilingual environment. Furthermore, by showing that various element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re related to bilingual development in terms of vocabulary,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the home environment for children who acquire bilingualis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distinguish bilingual languages ​​while investigating the literacy data in the home, literacy activities, and guidance of parents' literacy activities, which compose the literacy environment of Korean-Chinese families. More precise results can be obtained in subsequent studies if these variables are investigated by dividing them into Korean and Chinese-related environments.
중국은 한족 중심의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며 전형적인 다문화 국가이다. 민족별로 고유문화의 전통과 개성이 있으며 서로 다른 민족·언어·종교 및 생산방식으로 문화의 다양성을 공고화해 왔다.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중 조선족 가정이 유아가 한국어와 중국어를 습득하는 동시적 이중언어 언어환경으로서 중요함에 주목하였다. 유아가 접하는 동시적 이중언어 환경의 양상이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세밀하게 분석,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연변의 조선족 자치주 투먼시와 지린성 매하구시에서 조선족 가정 부모의 이중언어사용과 가정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중언어(한국어-중국어)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표현어휘 관찰과 측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기관교육의 영향이 적은 만 3세 유아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동시적 이중언어 유아의 한국어-중국어 표현어휘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표현할 수 있는 단어의 목록을 한국어, 중국어, 이중언어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둘째, 조선족 가정 부모의 이중언어사용과 가정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중언어(한국어-중국어) 표현어휘력과 상관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조선족 가정 부모의 이중언어사용과 넷째, 가정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중언어(한국어-중국어) 표현어휘력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동시적 이중언어 유아들의 표현어휘력은 두 언어 간에 차이가 있어 한국어보다 중국어 표현어휘력이 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언어에 대해 모두 실제 월령보다 등가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검사 문항별 정답률을 비교하면, 유아들은 중국어로 더 많이 표현할 수 있는 가운데, 한국어-중국어 단어 표현가능성이 상호보완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 부모가 중국어를 더 많이 쓸수록 이중언어 유아의 중국어 표현어휘력 수준은 높고, 한국어 표현어휘력 수준은 낮았다. 가정문해활동은 유아의 중국어 표현어휘력과만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조선족 부모는 가정에서 중국어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하고,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를 고르게 사용하는 경우는 비교적 적었다. 부모 간에 언어사용의 상관이 높아, 각각 한 언어씩 나눠서 쓰는 경우는 적고 대부분 서로 같은 언어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와 비교하여 어머니의 가정 내 이중언어사용 유형이 유아의 한국어 표현어휘력과 높은 관련을 가져, 어머니가 중국어를 주로 쓰는 경우보다 한국어를 주로 쓰는 가정에서 유아의 한국어 표현어휘력이 높았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중국어를 주로 쓰거나 적어도 두 언어를 고르게 쓰는 경우, 한국어 위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유아의 중국어 표현어휘력이 더 높았다.
넷째, 가정문해활동이 유아의 이중언어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면, 가정에서 문해자료를 많이 구비하고 있을수록 유아의 한국어 표현어휘력 수준이 높아졌다. 문해활동 빈도, 문해자료 구비정도, 어머니 문해활동 지도의 순으로 유아의 중국어 표현어휘력에 영향을 미쳤다.
이중언어 관한 연구가 주로 북미나 유럽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환경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반면,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유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가정을 대상으로 부모의 이중언어사용과 가정문해환경이 만 3세 동시적 이중언어 유아의 표현어휘력 발달에 영향을 미침을 증명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는 동시적 이중언어 환경에서 부모를 통한 두 언어 노출 정도의 의미를 분명하게 확인해주는 결과이다. 또한 가정문해환경의 다양한 요소가 어휘 측면에서 이중언어 발달과 관련됨을 보여줌으로써, 이중언어를 습득하는 유아의 가정환경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반면,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가정 내 문해환경을 구성하는 변수인 가정 내 문해자료, 문해활동, 부모의 문해활동 지도를 조사하면서 이중언어를 구분하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관련 환경으로 나누어 조사한다면 더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7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6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