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성의 육아휴직 경험과 성평등 : Fathers Experience of Parental Leave and Gender Equality: Focusing on the Change of the Father Image and Work-Family Balance Policies
아버지상(像)의 변화와 남성 돌봄참여지원정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수빈

Advisor
배은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남성 육아휴직아버지상(像)남성 돌봄참여지원정책돌봄의 탈젠더화계층적 선택성성평등fathers’ leavethe father imagework-family balance policiesdegenderization of careclass biasgender equali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21. 2. 배은경.
Abstract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 in considering the increase of fathers use of parental leave as a sign of gender equality in care,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fathers experience of parental leave on gender equality of care.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fathers leave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change of the father image and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lso the in-depth interviews with fathers who took parental leav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experiences and meanings of parental leav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ather image in Korea has changed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in a way that emphasizes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However, in the father image, a father was considered as a secondary caregiver, and fathers child care was connected to masculinity. Moreover, the purpose of fathers child care was focused on preventing delinquent behavior and promoting the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ork-family balance policies in Korea have changed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supporting male workers to participate in child care. Nevertheless, in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 father was assumed as a secondary caregiver. In addition, parental leave was not recognized as a universal right for not only women but also men, as the purpose of parental leave was focused on encouraging female workforce participation and solving the problems of low birth rates. Moreover, as parental leave payments were given by employment insurance and the polarization of the labor market was intensified, the tendency for only some male workers with stable job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 to use parental leave and take advantages has been strengthened.
In a trend where the father image and work-family balance policies emphasiz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only men who met the conditions such as being full-time employees with employment insurance and not being pressured by promotion were able to use parental leave. Fathers who took parental leave reflected on gender role stereotypes. However, fathers stayed as secondary caregivers or participated in masculine care such as physical activity, and most of them were unable to continue caring for their children after returning to their jobs. In addition, for fathers, the meaning of care during parental leave was usually focused on an opportunity to make their children more competitive and eventually, reproducing the class status of the family, rather than the universal rights asserted by feminist researchers. It was also meant to be an opportunity to pursue an equal relationship with his wife and to reflect on the social structure surrounding child care.
The expansion of fathers leave has had an impact on encouraging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cracking gender role stereotypes. However, not all men were able to participate in child care by using parental leave. Moreover, care was not completely degendered, and the meaning of fathers leave was mainly focused on the benefits of fathers child care.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of fathers parental leave-taking did not mean the degenderizaion of care itself. Therefore, in order for gender equality in care to be achieved, the problem of gendered understanding and class bias on fathers leave should be solved, and care should be recognized as a universal right and ethic regardless of gender, class, or family type.
이 연구는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률 증가를 곧 돌봄의 성평등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신호로 간주하는 양상에 문제를 제기하며, 남성의 육아휴직 경험이 돌봄의 성평등에 미치는 영향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남성의 돌봄참여를 지원하는 문화적⋅제도적 환경을 아버지상 담론과 남성 돌봄참여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본 뒤, 남성 육아휴직자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를 통해 그들의 육아휴직 경험과 주관적 의미부여를 분석했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사회 아버지상은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아버지가 자녀돌봄에 참여해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그러나 아버지상에서 아버지는 어머니와 달리 보조적인 돌봄 책임자로 상정되었고, 남성의 돌봄은 근대적 남성성과 연결되어 여성의 돌봄과는 질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남성의 자녀돌봄의 목적은 자녀의 일탈과 비행을 방지하고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정상적인 가족을 구축하는 효과에 집중되었다.
남성 돌봄참여지원정책은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남성에게 자녀돌봄에 참여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변천했다. 그러나 남성 돌봄참여지원정책에서 남성은 부차적인 돌봄 책임자로 상정되었으며, 육아휴직의 목적이 여성인력 활용과 저출산 해결에 초점이 맞춰져 육아휴직이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노동자도 포괄하는 보편적인 권리로 인식되지 못했다. 또한, 육아휴직 급여가 고용보험으로 지급되고 노동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노동시장 내 지위가 안정적인 일부 남성 노동자만이 육아휴직을 사용해 그 혜택을 받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경향성 속에서 실제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었던 남성은 고용보험에 가입한 정규직이고 승진에 압박을 받지 않는 등의 조건을 충족한 이들이었다. 남성 육아휴직자는 육아휴직을 사용해 자녀돌봄에 참여하며 성역할 고정관념을 성찰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내와 달리 보조적인 돌봄 책임자에 머무르거나 신체적인 활동과 같이 남성적으로 간주되는 돌봄에 집중적으로 참여하기도 했으며, 육아휴직을 마치고 복직한 뒤에는 대부분 자녀돌봄을 지속하지 못했다. 또한, 남성 육아휴직자에게 육아휴직 중 돌봄의 의미는 기존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이 주장했던 전인격적이고 보편적인 권리보다는 대개 자녀를 경쟁력 있는 주체로 기르고 가족의 계층적 지위를 유지하는 기회였다. 이외에도 아내와의 평등한 관계를 지향하고 자녀돌봄을 둘러싼 사회 구조를 성찰하는 계기라는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
남성의 육아휴직 확대는 남성의 자녀돌봄 참여를 문화적으로 독려하고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이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 의식을 갖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계층에 따른 제약으로 인해 모든 남성이 보편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했고, 남성의 육아휴직 중 돌봄 경험에서 젠더화된 돌봄의 양상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으며, 그 의미는 주로 아버지 자녀돌봄의 이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즉, 남성의 육아휴직 확대가 돌봄의 탈젠더화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돌봄의 성평등을 추동하기 위해서는 남성 육아휴직의 기저에 있는 돌봄에 대한 젠더화된 이해와 계층적 선택성의 문제가 해결되고, 근본적으로 돌봄이 보편적인 권리와 윤리로 인식되어 성별, 계층, 가족 형태 등과 관계없이 자녀돌봄에 참여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5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