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동체 실천으로서의 커뮤니티 댄스 연구 : A Study on Community Dance as Community Practice : With a focus on the transition from Rudolf Labans Movement Choir to modern community dance
루돌프 라반의 합무단에서 현대적 커뮤니티 댄스로의 이행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영

Advisor
신혜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커뮤니티 댄스루돌프 라반공동체 실천합무단교육무용Rudolf Labancommunity dancemovement choireducational dancecommunity practi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21. 2. 신혜경.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community dance as a practice that reflects the community nature of the respective society. To this end, it sheds light on Rudolph Laban's Movement Choir, which is the beginning of community dance, and analyzes the changes in community and practice that are foun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modern community dan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role that contemporary community dance practice aims to perform.
In terms of contemporary practice, community dance can be defined as "participatory dance activities by non-experts under the guidance or cooperation of dance professionals." Community dance participants can communicate with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se activities to inspire individual achievement or to achieve healing effects. Community dance is distinguished from professional dance in terms of dancing subjects, the purpose of movement, and evaluation, and is distinctive from folk dance and ballroom dance as it does not require conventionally defined skills or steps. Community dance can be seen as a dance practice that emerged in the 20th century, based on Laban's theory, which originated in Germany and was synthesized in the UK under the influence of American post-modern dance.
Laban, who founded the Non-Professional Dance mov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expanded the dancing body to non-expert students and workers, unlike previous dances, and embodied the ideal community through formation and choreography. In particular, the format of Movement Choir, which connects improvisation and free dancing to the collective movement, Reigen, can be seen as a unique structure in which Laban's thoughts about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re expressed. What he emphasized was the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and for this reason, Movement Choir was used in areas such as education and industry and unlike works of artists, it entered the public domain where anyone could participate, not the works of artists, and acquired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practice.
However, the fact that Movement Choir was used as a means of policy for the Nazis and Laban's history of contributing to it are pointed out as reasons why Movement Choir cannot be reproduced today. It is undeniable that the Nazis used Movement Choir format and formalized it as a community dance, and that Laban cooperated with it. However, the community that Laban and the Nazis wanted to implement through Movement Choir was different from the Nazis. If the Nazis wanted to worship the ruler through the unified movement of the group and boast the image of a strong Germany to the outside, Laban wanted to share the integrated experience of the people by having the German people dancing together.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between Movement Choir and modern community dance can be found in that Laban respects the unique movements of individuals and pursues communities that are creat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rather than subordination to society. Indeed, Movement Choir promoted individuals to follow leaders and melt into the whole rather than pursue complete individuality, and limited participants to healthy young people centered around the notion of the nation as a community. Such facts can be seen as the limitation of Movement Choir. The modern community dance has evolved to reflect on and overcome this.
Community dance, which succeeded Movement Choir, has developed to reflect changes in the concept of community shared by society, encompassing various members of society that have been excluded by expanding the concept of community based on diversity beyond nationality, gender, race and age. As a result, the purpose of community dance has expanded to not only enhance the sense of belonging but also to select and create communities on their own.
Community dance is widely used in various areas of society in that it aims to achieve individual transformation and further change the community in which the individual belongs. As a result, the social role of community dance is gradually emphasized, which is used for remedial activities and for mental healing and physical therapy, and the practical nature is strengthened, for example communicating with the disabled through dance or trying to overcom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line with this trend, consideration of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dance is required. As Movement Choir, collective movement of citizens can be a powerful means of delivering messages, so delicate consideration and review of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re needed not only for practitioners but also for participants in community dance practice.
Today, community dance is presented for various purposes and forms, including experiments and performances by famous artists, state-funded welfare policies, and means of treatment and self-development.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nature of community dance and discover values that run thorough community dance practices in various aspects and factors that current practices should overlook. By examining changes in the notion of community and analyzing aspects of practice in community dance, we will be able to reason how it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and further produce critical reflections both in domains of research and practice.
본 논문은 커뮤니티 댄스를 해당 사회의 공동체성을 반영한 실천으로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 댄스의 시초라 할 수 있는 루돌프 라반의 합무단을 조명하고, 현대적 커뮤니티 댄스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공동체성과 실천 방향의 변화를 분석한다. 나아가 동시대 커뮤니티 댄스 실천이 지향하는 사회적 역할을 검토한다.
동시대 실천 경향을 종합해 보면, 커뮤니티 댄스란 무용 전문가의 지도 혹은 협력 하에 이루어지는 비전문가들의 참여적 춤 활동으로 규정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개인적 성취감을 고취시키거나 치유의 효과를 얻고, 공동체 구성원과 소통하게 된다.
커뮤니티 댄스는 춤추는 주체와 움직임의 목적,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문 무용과 구별되며, 관습적으로 규정된 기술이나 스텝이 없다는 면에서 민속춤, 사교춤과도 구별되는 특성을 지닌다. 즉, 커뮤니티 댄스는 20세기에 출현한 고유한 무용 실천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라반의 이론을 바탕으로 독일에서 발생해 미국 포스트모던 댄스의 영향을 받아 영국에서 종합되었다.
20세기 초 비전문가 무용 운동을 창시한 라반은 춤추는 주체를 비전문가인 학생과 노동자들로 확장시켰고, 대형과 안무를 통해 이상적인 공동체의 모습을 구현했다. 특히 즉흥과 프리댄스에서 라이겐 대형의 집단 움직임으로 연결되는 합무단의 형식은 라반이 가진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이상이 표현된 구조로 볼 수 있다. 그가 강조한 것은 공동체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합무단은 교육, 산업 등의 영역에 활용되며 예술가의 작품이 아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공의 영역으로 진입하며 공동체 실천으로서의 특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합무단이 나치의 정책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사실과 이에 기여한 라반의 이력은 합무단이 동시대에 그대로 재현될 수 없는 이유로 지적된다. 이 같은 역사를 부정할 수는 없지만, 라반과 나치가 합무단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 공동체의 모습은 상이했다. 나치가 집단의 통일된 움직임을 통해 지배자를 경배하고 강한 독일을 외부에 과시하고자 했다면, 라반은 독일인들이 함께 춤을 추는 행위를 통해 민족의 통합된 경험을 공유하고자 했다. 특히 라반이 개인의 고유한 움직임을 존중하고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가는 공동체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합무단과 현대적 커뮤니티 댄스의 연결성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완전한 개성보다 지도자를 따라 전체 안에 녹아드는 개인을 표현했고, 국가 공동체를 중심으로 신체 건강한 청년으로 참여자를 한정시킨 점은 합무단의 한계로 볼 수 있으며, 현대적 커뮤니티 댄스는 합무단을 계승하는 동시에 반성하고 극복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커뮤니티 댄스는 시대에 따른 공동체 개념의 변화를 반영해 발전해 왔는데, 동시대 커뮤니티 댄스는 20세기 초의 제한된 공동체 개념을 확장해 다양성을 기반으로 그동안 배제해 왔던 구성원을 포섭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 댄스의 목적은 소속감을 높이는 것은 물론 스스로 공동체를 선택하고 만들어가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커뮤니티 댄스는 개인의 변화를 이루고 나아가 그 개인이 속한 공동체의 변화를 목표로 삼는다는 점에서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 댄스의 사회적 역할은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교정은 물론 정신적 치유나 육체적 치료 차원에서도 활용되고, 춤을 통해 장애인과 소통하거나 세대차이 극복을 시도하는 등 실천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이런 경향과 맞물려 커뮤니티 댄스가 필연적으로 가지는 정치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는데, 합무단이 그랬듯 시민의 집단 움직임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커뮤니티 댄스 실천에 있어 실행가는 물론 참여자들에게도 정치적·사회적 특성에 대한 섬세한 배려와 검토가 필요하다 하겠다.
오늘날 커뮤니티 댄스는 유명 예술가의 실험과 공연, 국가의 지원을 받는 복지 정책, 치료와 자아 개발 수단 등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선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커뮤니티 댄스의 본성을 파악해 커뮤니티 댄스 실천을 관통하는 가치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댄스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를 사유하고, 나아가 연구와 실천 양쪽에 있어서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7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