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산조대금의 지법(指法) 연구 : A Study on the Finger Positions of the Sanjo-Daegeum
6관ㆍ5관ㆍ4관 지법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양수

Advisor
김우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산조대금6관 지법5관 지법4관 지법운지법Sanjo-DaegeumSix gwan-JibeopFive gwan-JibeopFour gwan-JibeopFinger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1. 2. 김우진.
Abstract
The sanjo-daegeum is used in the performances of sanjo(散調) and sinawi(시나위), samhyeonyukgak(三絃六角), military ceremonies(行樂), and in provincial folk songs and dance accompaniment. It is a common instrument in most folk ensembles. The instrument is flexible in rendering various styles of music by changing the pajibeop(把指法), gripping or finger positions, which determines the number of jigong(指孔), or tune hole, usage, by repositioning the hands or modifying fingering with the addition of techniques.
In this research, to identify these patterns, music was observed in groups according to different pajibeop, and they are the following: six gwan-jibeop, when all six tune holes are used; five gwan-jibeop, when the right hand shifts closer to the chwigu(吹口), or embouchure(blowing hole), and only five holes are used; and four gwan-jibeop, when the right hand shifts further than the five gwan-jibeop and only four holes are used.
The beginning part of the research focuses on the Jinyang-jo(진양調) movement of Seo Yong-Seok Daegeum Sanjo, which is a piece that employs the six gwan-jibeop and fingering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mode. The latter part of the research comprises a larger variety of music as well as positions — employing the six gwan-jibeop is Sinawi; employing the five gwan-jibeop are Gyeonggi(京畿) provincial songs, Changbutaryeong(倡夫打令) and Noraegarak(노랫가락); employing the four gwan-jibeop are Yeombulpungryu(念佛風流) of Seoul Samhyeonyukgak and Seodopungryu(西道風流) of Bongsan(鳳山)-Maskdance.

First, when performing the daegeum, both hands share the role of playing notes, but the left hand is also responsible of holding and supporting the instrument. This gives the right hand the advantage to freely play melodies, in comparison to the left hand. This phenomenon is more apparent in the five and four gwan-jibeop than in the six gwan-jibeop positions. Gyeonggi provincial folk songs use the five gwan-jibeop and the right hand is responsible for fast ornamentations and melodic processions played on the 3rd, 4th, and 5th holes. This is more prominent in music that uses the four gwan-jibeop, like Yeombulpungryu and Seodopungryu, where the melodic majority is concentrated on the right hand and played on the 2nd, 3rd, and 4th holes.
Second, regardless of the hand position, the agility of the ring finger on both hands is weaker than the index and middle fingers. And to avoid performing main or ornamental notes with the fourth finger, bareumgibeop(發音技法) — a combined technique with two contradicting methods where the performer can either grip the higher note and lower the pitch by tilting the embouchure towards the body or grip the lower note and raise the pitch by tilting the embouchure away from the body — is exercised. This is a method that may have developed because of performers wanting to minimize fingering.
Third, when gripping the instrument higher in either five or four gwan-jibeop,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number of accessible tune holes. Therefore, certain notes lack tonal accuracy even when drastically angling the embouchure to maximize manipulation. However, the occurrence of these tones is usually less than once in a single repertoire, therefore, supporting the idea that multiple pajibeop were adopted by the sanjo-daegeum as an evolved method of accommodating convenient performances of common melodic procession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se dynamic methods that enable fluent performances in many keys may be perceived as a technique that was developed for the sanjo-daegeum. In other words, the reason for having multiple pajibeop and fingering methods like the six gwan-jibeop, five gwan-jibeop and four gwan-jibeop, is that field folk musicians were required to perform a wide range of repertoires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on one sanjo-daegeum.
산조대금(散調大笒)은 산조와 시나위, 지방 관아로 전승되었던 삼현육각(三絃六角), 군악(軍樂) 계통의 행악(行樂), 각 지방 민요 반주와 무용 반주 등 민속악의 합주곡에 대부분 편성되는 악기이다. 그리고 연주하는 악곡에 따라 악기의 모든 지공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6관 지법 외에도 5관 지법, 4관 지법 등 악기의 파지법(把指法)과 운지법(運指法)을 변화시켜 하나의 악기로 민속악의 다양한 장르의 곡을 연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조대금으로 연주하는 다양한 악곡을 대상으로 악곡에 따른 파지법과 운지법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정된 파지법을 사용하는 하나의 악곡에서 운지법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러 악조를 연주하는 예를 서용석류 대금산조 에서 살펴보았다. 또, 악곡에 따라 다른 파지법과 운지법의 변화를 6관 지법은 에서, 5관 지법은 경기민요 과 에서, 4관 지법은 서울 삼현육각 와 봉산탈춤의 반주음악 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알 수 있다.

첫째, 대금을 연주할 때 왼손은 선율변화를 위한 손가락의 움직임과 악기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지만, 오른손은 악기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다. 대금을 연주할 때 왼손보다 오른손의 움직임이 더욱 활발한 현상은 산조대금의 기본 지법인 6관 지법을 사용할 때보다 악기를 올려 잡는 5관 지법과 4관 지법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5관 지법을 사용하는 경기민요의 빠른 장식음과 선율진행은 대부분 악기의 제3ㆍ4ㆍ5공에서 연주를 하며, 제3ㆍ4ㆍ5공을 오른손 검지ㆍ중지ㆍ약지로 막는다. 4관 지법을 사용하는 와 에서는 대부분 선율을 제2ㆍ3ㆍ4공에서 연주를 하며, 제2ㆍ3ㆍ4공을 오른손 검지ㆍ중지ㆍ약지로 막는다.
이처럼 빠른 장식음이나 선율진행의 편안함과 안정을 위해 왼손보다는 오른손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파지법과 운지법을 사용한다.
둘째, 대금의 어떠한 지법을 막론하고, 왼손과 오른손의 약지는 검지나 중지의 움직임에 비해 민첩하지 못하다. 6관 지법ㆍ5관 지법ㆍ4관 지법의 선율진행 중 빠른 경과음이나 장식음을 왼손 또는 오른손 약지로 연주하게 될 때, 약지의 사용을 피하고자 한 음 높은음의 운지법으로 악기를 숙여 불어 음을 낮추거나, 혹은 한음 아래 음의 운지법으로 악기를 제쳐 불어 음을 높이는 기법이 사용된다. 이는 대금의 운지법상 취약점이 있는 약지의 움직임을 최대한 피하고자 발전한 주법이다.
셋째, 5관 지법ㆍ4관 지법과 같이 악기의 지공을 올려잡게 되면 6관 지법과 비교해 사용하는 지공의 수가 줄어 출현음 중 특정음은 극단적으로 악기를 숙여 음을 낮춰도 정확한 음정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즉, 산조대금의 파지법은 해당 악곡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선율진행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산조대금이 6관 지법ㆍ5관 지법ㆍ4관 지법 등의 다양한 파지법과 운지법을 사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각각의 특성이 있는 민속악곡을 하나의 악기로 연주하기 위한 공연 현장 연주자들이 노력한 결과이다.
즉, 하나의 악기로 파지법과 운지법을 바꿔 다양한 악곡의 key를 소화해 연주할 수 있다는 것은 대금 연주법의 테크닉이 발전된 형태로 바라봐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91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8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